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내수 부양을 위해서 금리를 내렸는데 주가는 오히려 하락하고 있다고 합니다 인플레이션에 와서이 금리정책이 조금 늦었다라는 지적이 있던데 어떤가요

내수 부양을 위해서 금리를 내렸는데 주가는 오히려 하락하고 있다고 합니다 인플레이션에 와서이 금리정책이 조금 늦었다라는 지적이 있던데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인태성 경제전문가
    인태성 경제전문가
    대종빌딩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수 부양을 위해서 금리를 내렸는데도 주가는 하락한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금리 인하가 실제 영향을 주기 까지는 약 6개월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고

    또한 금리 인하 소문으로 인해서 주가에 어느 정도 선반영이 된 것이 조정을 받은 것일수도 있습니다.


  • 한번 신용 불량이나 연체가 되면 복구하기가 아주 어렵습니다 금리를 내렸다는 것은 가계부채나 사업자 대출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득이 되는 것이고 도움이 되는 것인데도 연체가 된 후에 내리면 뭘 할까요 그리고 금리를 내린다고 해도 시중 금리가 바로 내려가는 것도 아니거든요 낭떠러지에 떨어진 다음에 손 내밀면 뭐 하냐는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가계부채 문제로 인하여 금리인하 타이밍이

    조금 늦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만

    워낙 부동산 문제가 컸던만큼

    현재로써는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내려서 내수를 부양하려는 정책은 소비를 촉진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정책이 조금 늦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는, 이미 인플레이션이 높은 상태에서 금리를 낮추면 물가 상승을 더 자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이 경제 불안을 느끼고 주식 시장에서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아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정책이 상황에 맞게 더 일찍 시행되었으면 좋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 저도 경기 측면만 보면 약간 늦었다는 느낌이 있기는 합니다. 한국은행에서는 부동산 버블 우려 때문에 한 번 정도 금리인하를 늦게 한 것으로 보이기도 하는데 경기는 약간 침체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한 번 정도 먼저 했어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하지만 미국보다 먼저 하기는 부담스러운 측면이 커서 이번에 한 것도 괜찮은 선택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