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기점 예산'이라는 용어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예산제도와 관련하여 '영기점 예산'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어떤 예산 제도를 말하는 것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찾아보니 영기점 예산은 원점에서 출발하여 예산요구액 하나하나에 대해 타당한 근거를 요구하는 관점에 기초로 하고, 기존에 진행되던 사업과 신규 사업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사업을 분석해 우선순위를 매기고 그 순위에 따라 예산을 편성하는 것을 말하네요
✅️ '영기준 예산제도'라고도 합니다. 일단 원점(0)에 놓고서, 그 분야 예산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타당한 근거를 댈 수 있으면 배정을 하고 그렇지 못하면 배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닙니다.
영기점 예산'은 일정 기간 동안의 예산을 설정하고 그 기간 동안 예산을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해진 기간 동안의 예산을 미리 계획하고 그 예산 범위 내에서 지출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예산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질문해 주신 영기점 예산에 대한 내용은 다음입니다.
영기점 예산은 Zero Based Budget 으로
이는 예산을 편성할 떄 전년도 예산에 기초하지 않고
다시 0을 기준으로 원점에서 재검토 한뒤 다시 예산을 편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영기점 예산제도는 실제 영기준예산제도라고 하는데, 영기준 예산제도라는 것은 아무런 예산도 필요없다는 것을 전제로 예산을 책정하는 개념을 말하는 것이에요. 영점 기준에서 출발하여서 영점 기준을 넘는 모든 예산 요구액을 하나하나 타당성을 요구하면서 예산의 확장을 하게 되는 개념인데, 영기준 예산제도는 1970년대 미국에서 기존의 점증주의 예산제도를 비판하게 되면서 시작된 예산제도에요
영기준예산제도 혹은 영기점예산제도는 예산을 편성할 때 전년도 예산에 기초하지 않고 영(0)을 기준으로 원점에서 재검토한 뒤 예산을 편성하는 방법입니다. 즉, 기존에 진행되던 사업과 신규 사업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사업을 분석해 우선 순위를 매기고 그 순위에 따라 예산을 편성하는 것입니다.
1970년대 미국에서 기존의 점증주의 예산제도를 비판하며 개발된 예산 제도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3년에 처음으로 영기준예산제도를 시도한 적이 있습니다.
영기준 예산이란 전년도 예산을 무시하고 정해진 최적화 방식에 의해 예산편성을 총점검 하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사업 및 예산항목의 신규 등을 불문하고 각각의 예산연도에 그 이점 및 다른 항목과의 비교우위를 통한 정당화를 기반으로 예산을 할당합니다.
영기준 예산 제도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는 기존 사업과 새로운 사업을 구분하지 않고 매년 모든 사업의 타당성을 영기준에서 엄밀히 분석해 예산을 편성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보통은 영기준예산이라고 많이 부릅니다
영기준예산ㅇ은 예산을 편성할 때 전년도 예산에 기초하지 않고 영을 기준으로 원점에서 재검토한 뒤 예산을 편성하는 방법입니다 제로베이스예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