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관점에서 하루가 정확히 24시간이 아니라는 말이 사실인가요?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365일이다. 하루는 24시간이다. 라는 사실은 너무나도 잘 알고있는 사실들인데요. 제가 얼마전 하루의 시간은 24시간이 정확히 꽉 채워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이 말이 과학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하루 길이는 약 24시간이지만, 정확히 꽉 채워지는 것은 아닙니다. 지구의 하루 길이는 약 23시간 56분 4초입니다.지구의 하루 길이가 정확히 24시간이 아니라는 것은 과학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차이는 매우 미미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24시간으로 간주합니다. 지구의 하루 길이가 정확히 24시간이 아니라는 사실은 달력에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윤달은 지구의 하루 길이가 정확히 24시간이 아니라는 사실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달력입니다. 윤달은 4년마다 한 번씩 있으며, 2월에 하루를 추가하여 2월을 29일로 만듭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자전축 주위를 공전하는데, 이 과정에서 자전 속도가 변화합니다. 이는 지구의 자력과 태양의 중력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변동으로 인해 하루의 길이는 약간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과학적으로 하루는 일반적으로 24시간이 아니라 조금 더 긴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 속도에 의한 현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자전축 주위를 한 바퀴 돌게 됩니다. 그러나 태양주기와 관련된 다른 천체들과의 상호작용, 지구 내부의 마찰, 바람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실제로 하루의 길이는 변동합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변동을 감안하여 평균 태양일(Average Solar Day)이라고 하는 기준을 사용합니다. 평균 태양일은 평균적으로 24시간인 것처럼 측정되지만 실제로는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