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끝까지발전하는곰
끝까지발전하는곰

Amorphous polymer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Amorphous polymer는 결정구조가 불규칙하기 때문에 산란이 더 많이 일어나나요?

100퍼센트 비정질 구조면 transparent하다고 들었는데 만약 산란이 많이 일어나면 불투명한 것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비정질 고분자(Amporphous polymer)는 결정구조가 불규칙하고, 분자들이 무작위로 배치되어 있어, 광학적 특성이 결정성 고분자와 다릅니다.
    비정질 고분자는 결정성 고분자와 달리 규칙적인 결정 구조가 없기 때문에, 빛이 통과할 때 산란(scattering)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결정 구조는 빛의 경로에 불규칙성을 제공하여 산란을 유발하는데, 비정질 고분자에서는 이러한 결정 구조의 불규칙성이 없으므로 빛의 산란이 적습니다. 이는 비정질 고분자가 투명한 특성을 갖게 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결정 구조가 없다면 빛은 고분자 내부를 방해받지 않고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100% 비정질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는 투명해집니다.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비정질 고분자는 높은 투명성을 나타내며, 유리와 같은 역할로 사용됩니다. 반면, 결정성이 일부 존재하거나 미세한 결정체가 섞여 있는 경우에는 그 결정들이 빛을 산란시켜 불투명하거나 혼탁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비정질 폴리머는 분자 사슬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어 특정한 평면이 없어 빛의 산란이 적고, 따라서 투명합니다. 반면, 결정성 폴리머는 규칙적인 구조로 인해 빛을 산란시켜 불투명하게 보입니다. 비정질 구조에서는 빛이 산란되지 않기 때문에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비정질 고분자는 내부 구조가 규칙적이지 않아서 빛의 산란이 오히려 적고, 그 결과 투명하게 보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비정질 고분자에서 산란이 적다는 것은, 내부 구조가 균일하여 빛이 물질 내부에서 많은 방향으로 흩어지지 않고 그대로 통과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산란이 적을수록 빛이 투과하는 양이 많아지므로, 물질은 투명하게 보입니다.

    비정질 상태에서는 물질 내부에서 빛이 규칙적으로 산란되지 않습니다. 산란은 주로 물질 내부에 있는 미세한 불균일성, 결정 구조의 경계 또는 특정한 미세한 구조들에 의해 발생합니다. 결정질 고분자의 경우, 규칙적인 구조가 빛의 산란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비정질 고분자는 그러한 규칙적인 구조가 없기 때문에 빛이 상대적으로 덜 산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