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원하는것 어디까지 해주시나요?
아이가 원하는걸 다들어주시나요?
어느정선까지만 해주실거같은데
그선을 못정하겠네요
다들 어떻게 선을 정해두셨나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원한다고 해서 무조건 다 들어주며 사주다보면 버릇이 없어지기도 하고 사주지 않을경우 때를 부릴수도 있습니다. 무조건 사주기 보다는 합리적인 가격안에서 사줄수 있는 적정선을 지키는 것이 좋으며 타협점을 보고 사주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부모는 아이가 원하는 것 중 안전하고 건강에 이롭지 않은 것, 그리고 사회적, 윤리적 기준을 벗어나는 것을 아이가 선택할 경우 훈육하신다는 기준을 가지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외에는 아이가 부딪히면서 시행착오를 겪을 수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시고 내려 놓으시면 아이는 건강하게 잘 성장할것입니다. 부모님이 기준점을 정하신것에서 그 선만 지키시고 이외의 것에서는 아이를 믿어주시길 바랍니다. 물론 대부분의 부모님이 내려놓지 못하셔서 힘들어 하는 경우가 많으시지만 이러한 과정중에 아이도 부모님도 성장하는 것 같습니다. 먼저 부모님께서 아이에게 바라는 기준점을 세우시고 그 기준점을 가지고 대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으실 것이라 조언드리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처음에 하는 모든것은 좋아하고 하고 싶어 할겁니다. 하지만 말씀하신대로 모든것을 들어줄 수는 없다고 생각하니다. 남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행위 같은 경우에는 피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것을 한번 해주기 시작하면 하는방법을 터득하고 해도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이가 계속해서 반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위험한 행동은 절대로 단 한번이라고 허용해주시면 안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원하는 걸 다해줄 수는 없습니다
부족함을 모르고 자라는 아이들은 경제 관념도 떨어질 뿐 아니라
배려심도 부족하게 되어 사회적인 무리에 잘 어울리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정해진 선은 없고 일반적으로 평균에 비슷하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또래 친구들 일주일 용돈이 1만원 인데 5만원이나 10만원을
원해서 준다면 일반적이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각 가정마다 부모님들 마다 정해놓은 그 기준이 다르실 텐데요 저 같은 경우에는 보통 아이가 했던 것을 또 반복적으로 사달라고 하거나 해달라고 원하는 경우, 필요없는 것들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단호하게 제한을 둡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원하는것을 모두 들어주는건 현실적으로 어렵고 아이버른이 나빠집니다 그래서 아이가사달라는거에 일일이 반응하기 보나는 이번달에 사기로 한 것의 액수 및 갯수를 정해놓고 이걸 지키도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