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진실한콜리254
진실한콜리254

과학자가 윤리적인 문제에 직면했을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요즘 ai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데요.

과학자는 인류에게 많은 좋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과학자는 많은 윤리적인 딜레마에 빠지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데,

어떤 방법으로 이런 딜레마를 해결하고 헤쳐 나갈수 있는지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과학적인 답변보다 인문학적인 답변이 될것 같습니다.

    과학도 중에서 특히나 생명공학 파트에서 말씀하신 윤리적인 문제에 자주 직면하게 됩니다. 잘 아시는 황우석 박사의 경우 줄기세포를 활용하여 동물을 복제하게 되는데 인간의 줄기세포를 사용함에 있어 어디까지부터가 인간인지에 대한것이 이슈가 되었습니다.

    결국 사기로 판명이 되었지만 한때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 사람의 줄기세포를 사용하기도 하여 도덕적으로도 많은 논란이 있었습니다. 사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과학자로써 한걸음 더 나가는 것과 양식과 윤리에 근거하여 멈추는것은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언론에 드러난 것만 알려져 있지 실제로 중국과 러시아 등 사회주의 국가에선 서방의 윤리기준을 따르지 않는 비인륜적인 실험을 감행하고 있습니다. 논문으로 결과를 발표하면 노벨상 감이겠지만 윤리적인 부분때문에 감추고 있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사실 과학의 발전은 도전의 역사이기 때문에 저는 윤리적인 문제보단 더 넓은 미래를 보며 나아가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세간의 비난과 욕을 먹게 되더라도 성공하면 인류를 위한 한걸음이 될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정말 어려운 질문인것 같습니다.

    아직까지는 법적으로 뭔가를 제시를 하지 못한 상태에서 AI 시대가 빨리 와 버린 느낌이라서

    이부분은 과학자들의 양심의 문제가 되어 버린 상황입니다.

    조금 더 세세한 법적인것들이 나왔으면좋겠습니다.

  • 반갑습니다.

    사회가 진화해 나갈수록 생명과학, AI, 기타 정보통신기술 분야에서는 과학자의 윤리의식이 더욱 요구됩니다.

    과학자는 합리적이고 정직한 연구를 기획하고, 연구 과정과 방법에서 연구 윤리를 준수하며 연구의 진실성을 지키고,

    논문발표에 있어서 중복이나 허위, 위조,표절 등의 행위를 금해야 한니다.

    과학자 윤리에 대한 논쟁에서는 윤리의식 없이 기술만 있는 과학자는 기능인에 지나지 않는다는 의견과 과학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라면 과학자의 연구는 정당성을 인정받아야 한다는 의견이 대립되고 있습니다.

    연구에 참여하는 과학자와 기술 활용자도 윤리적 고민을 해야 하지만 우리 사회 역시 그들이 괴물이 되지 않도록 계속

    주시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