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모르겄다
모르겄다

일본어의 '빠가야로'의 어원이 지록위마에서

일본어의 '빠가야로'의 어원이 지록위마에서 유래되어 빠가(馬鹿)라는 말이 생겼다는 글을 읽고서 馬의 일본어 발음이 어떻게 되나 찾아봤더니 '빠'가 아닌 '으마'라고 발음하더군요.

어찌 馬가 '빠', 鹿가 '가'라고 발음된다는 게 이해가 되지 않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초록지빠귀92
    초록지빠귀92

    진시황이 죽자 환관 조고(趙高)는 황제의 칙서를 위조해 어린 호해(胡亥)를 황제로 옹립했다. 조고는 원로 중신들을 처치하고 최고 관직인 승상에 올라 조정을 한 손에 틀어쥐었다.

    그가 어느 날 사슴 한 마리를 어전에 갖다 놓고 말이라고 우겼다. 조고를 두려워한 중신들은 사슴을 사슴이라 말하지 못했다. 더러 사실을 말하는 신하가 있었지만 나중에 모두 죽임을 당했다. 사슴(鹿)을 가리켜(指) 말(馬)이라 했다(爲)는, 우리가 너무도 잘 아는 지록위마(指鹿爲馬)의 고사(故事)다.여기에서 ‘빠가’는 ‘바카’(ばか, 馬鹿)의 센 발음이고 ‘야로’(やろう, 野郞)는 녀석·자식·촌놈 등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바카’(馬鹿)가 정말 ‘지록위마’의 고사에서 비롯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일부에서는 ‘바카’의 어원으로 산스크리트어(梵語)에서 유래됐다는 주장을 펴기도 한다.

  • 일본어에서 '빠가야로'의 어원이 지록위마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은 실제로 언어학적으로 논란이 있다고 합니다. 일본어에서 '馬鹿'의 '馬'는 일반적으로 '우마'라고 읽히지만, 이 단어는 일본어에서 시간이 흐르며 다른 발음으로 변형되어 '빠' 로 발음되게 되었습니다. '馬鹿'에서 '馬'가 '빠'로 변한 이유는 일본어에서 과거의 한자 발음이나 민속적인 변형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입니다. '鹿'는 원래 '가' 라고 읽히며, 이 발음 변화는 주로 음운 변동에 의한 것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