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선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는 단선,단락,지락이라고 하던데요. 단선과 단락은 발생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지락은 어떻게 발생하나요?
송전선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는 단선,단락,지락이라고 하던데요. 단선과 단락은 발생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데 지락은 어떻게 발생하나요?선이 끊어져서 대지와 접촉한다고 하면 단선 사고일것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지락은 전력 시스템에서 특히 주요 이슈 중 하나입니다. 송전선로에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지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기가 불안정할 때 낙뢰가 송전선로에 직접 떨어지거나, 강풍에 의해 나뭇가지나 이물질이 전선에 접촉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절연체의 노후화나 손상으로 인해 전류가 대지로 흐를 수 있습니다. 이 때,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계전기가 작동하여 차단기를 통해 전류를 차단하게 됩니다. 따라서 송전선로의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안전한 전력 공급을 위해 중요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두현 전문가입니다.
지락은 송전선로나 배전선에서 전선이 대지와 직접 적촉하거나 절연불량으로 인해 전류가 대지로 흐르는 사고를 말합니다
지락은 여러가지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어요 첫번째로 송전선이 강풍,낙뢰,나뭇가지 접촉 등의 외부요인으로 인해 전주나 철탑과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압선 근처에 나무가 자라서 전선과 닿거나 새나 작은 동물이 절연부분을 손상시키는 경우도 흔합니다
두번째로 절연체가 노후되거나 오염되어 절연 성능이 저하될 경우 지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비나 눈이 오거나 먼지가 쌓이면 절연 저항이 낮아지면서 전류가 새어나가 대지로 흐르게됩니다
지락이 발생하면 대지전류가 흐르면서 보호게전기가 이를 감지하고 차단기를 동작히켜 전력을 차단하게됩니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사고를 방지하고 감전이나 화재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지락은 송전선로나 전력 시스템에서 지면 과 전선이 접속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전선이 지면과 연결되어 전류가 땅으로 흐르는 것입니다.
이는 전선의 절연 파괴로, 외부의 영향인 강풍, 충격, 기후변화, 번개 등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전선이 지면에 접촉하는 상황에서는 송전선로의 절연이 손상되거나 누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선의 피복이 벗겨진 경우, 지면으로 전류가 흐르며 지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지락 사고는 전선이 끊어지지 않더라도 절연이 약해지거나 손상되었을 때 전류가 대지로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거나 애자가 오염·파손되어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지락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낙뢰, 나뭇가지 접촉, 동물 침입 등으로 인해 전선이 대지와 접촉하지 않더라도 절연이 파괴되면서 지락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지락(Ground Fault)은 전력선이 정상적인 경로가 아닌 대지(땅)와 접촉하여 전류가 흐르는 사고를 의미합니다. 단선이 단순히 선이 끊어지는 것이라면, 지락은 전선이 끊어지지 않더라도 절연이 파괴되거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전류가 땅으로 흘러가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무가 송전선에 닿거나, 송전선의 절연이 손상되어 철탑이나 전봇대 등과 접촉하면 지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벼락이 전선에 떨어지거나 습기와 오염물질이 절연체를 타고 전류가 흐르는 경우도 지락의 원인이 됩니다. 지락이 발생하면 전류가 대지를 통해 흐르면서 설비 손상, 감전 위험, 전력 시스템의 이상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보호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지락은 땅에 번개가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주변에서의 번개감전사고와 같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안전거리를 확보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