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가 벽에 충돌을 하면 왜 폭발을 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알기로는 보통 자동차 (승용자 등) 이 벽이나 장애물에 충돌을 하면,
짜불어들고 폭발까지 하지는 않는 것으로 아는데요..
왜 항공기는 벽에 충돌을 하게 되면 크게 폭발을 하는 것인가요??
자동차도 범퍼 앞부분에 엔진이 있고 기름도 있는데 말이에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항공기가 벽이나 장애물에 충돌할 때 폭발적인 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 물리적, 화학적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첫째, 항공기의 연료는 고압 상태에서 저장되어 있으며, 비행 중 고속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충돌 시 엄청난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방출됩니다. 자동차와 달리 항공기는 빠른 속도와 높은 고도에서 비행하므로 충격이 매우 강합니다. 또한, 항공기의 연료 탱크는 가연성 물질인 항공 연료를 담고 있어 충돌 시 연료가 유출되어 불꽃이나 열에 의해 폭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공기의 구조는 고속 비행을 위한 설계로 매우 강하고 단단하여 충돌 시 변형되기보다는 충격을 내부로 전달하게 되어 폭발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반면, 자동차는 구조적으로 상대적으로 에너지 흡수가 용이하고, 연료 탱크의 설계가 항공기와 다르기 때문에 비교적 폭발 위험이 낮습니다. 물론 자동차도 고속도로에서 대형 사고 시 폭발할 수 있지만, 항공기의 경우 충돌 속도와 연료의 특성 상 폭발이 더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항공기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의 연료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대형 여객기의 경우 수만 리터의 연료를 싣고 있어 충돌 시 대량의 연료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항공기 연료는 일반적으로 더 휘발성이 높고 인화성이 강합니다.
항공기는 자동차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충돌 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가 매우 큽니다.
이 에너지는 열과 마찰을 발생시켜 연료 점화의 위험을 높입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잡적으로 작용하여 항공기 충돌 시 폭발의 위험성을 높이게 됩니다.
자동차는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주행하며, 연료량도 적고 구조적으로도 충돌 시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폭발의 위험성이 낮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항공기가 충돌 시 폭발하는 주요이유
항공기는 자동차보다 훨신 많은 연료를 탑재합니다. 대혀 여객기는 수만 리터의 연료를 싣습니다.
항공기는 자동차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충돌합니다. 예를 들면 최근 제주항공 사고에서는 활주로를 1600미터나 달린 후 충돌했습니다.
항공기는 주로 날개에 연료를 저장합니다. 충돌 시 날개가 손상되면 대량의 연료가 누출될 수 있습니다.
항공기는 경량화를 위해 자동차보다 얇고 가벼운 재질을 사용하여 충돌 시 더 쉽게 파손될 수 있습니다.
충돌 과정에서는 연료 누출, 스파크 발생, 그리고 이로 인한 폭발과 화재가 연쇄적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제주항공의 사고 는 활주로 끝 콘트리트 구조물과 외벽에 연이어 충돌하면서 기체가 크게 파손되고 연료가 누출되어 폭발과 화재로 이어졌습니다. 따라서 항공기는 자동차와 달리 대량의 연료, 고속 충돌, 그리고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충돌 시 폭발 위험이 훨신 더 큽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항공기가 벽에 충돌할때 폭발이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충돌시 에너지의 방출과 연료의 특성 때문입니다. 항공기는 높은 속도로 비행하며 충돌시 큰 운동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집중되어 구조물에 전달되면서 심각한 손상을 초래합니다. 또한, 항공기는 대량의 연료(항공유)를 탑재하고 있어 충돌시 연료가 유출되고 불꽃이 발생하면 폭발할 위험이 커집니다. 반면, 자동차는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충돌하며 연료 용량이 적어 폭발 위험이 낮습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항공기는 더 큰 폭발 사고를 유발할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