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신중한풍뎅이296
신중한풍뎅이296

자동차 헤드라이트 전구는 언제 교체 해야하나요?

아직까지 작동은 잘 되고 있으나 야간 운행시 밝기가 약해진거 같아 보여서 교체를 생각 중 입니다. 전구 교체 주기가 정해져 있는건지 아니면 불이 들어오지 않으면 교체를 해야 하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 자동차 헤드라이트는 야간 주행 시 우리의 눈과 마찬가지기 때문에 안전과 직결된 차량의 부품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옛말에도 '몸이 10냥이면 눈이 9냥'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눈의 역할은 중요한 것입니다.

    - 그만큼,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관리와 전구의 교체주기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관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겠습니다.

    1. 헤드라이트 케이스의 변색방지

    2. 전구의 교체주기 확인

    - 헤드라이트 케이스는 전구의 밝기를 바깥으로 전달하며, 전구의 수명과 선명도를 지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관리를 잘해야 하겠습니다.

    - 헤드라이트 케이스 관리

    1. 차량이 비를 맞은 경우 차량에서 내릴 때, 비가 그쳤거나, 지하주차장 등 더이상 비를 맞지 않는 환경에 주차를 할 수 있는 상황이 되면, 물이나 차량세척액으로 가볍게 닦아줍니다. 특히 산성비라고 생각될 때는 필히 헤드라이트 케이스를 닦아두어야 합니다.

    2. 1주일에 1회, 적어도 한 달에 1회 정도는 표면에 왁스를 살짝 발라줍니다(자외선에 의한 황변 및 플라스틱의 백탁방지).

    - 차량의 헤드램프 종류 확인(헤드램프 교체주기의 결정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LED는 평균 5,000 시간(하루 1시간 운전기준 평균 14년 정도)

    2. 제논 전구는 평균 2,000 시간(하루 1시간 운전기준 수명 평균 5년 정도)

    3. 할로겐 전구는 평균 500 시간(가장 많이 사용, 하루 1시간 운전시 수명 1.5년 정도)

    항상 즐겁고 안전한 운전 되시기 바랍니다.

  • 자동차 헤드라이트 전구가 걱정 되시나 보군요??

    아무래도 자동차는 소모품이다 보니

    전구도 쓰면 쓸수록 어두워 집니다.

    외부적인 요인과 내부적인 요인이 있는데

    외부적인것은 헤드라이트가 오래 되면서 수많은 벌레자국과 세차 자국 기스 등으로

    uv 코팅막이 날라가면 알게 모르게 황변이 일어나면서 어두워집니다

    그외 내부 헤드라이트에 먼지나 가스가 차서 이염이 일어나서 어둡게 됩니다

    내부적인 요인은 전구가 수명 다되어서 점점 어두워 지다가

    붉은색을 뛰다가 전구가 나가게 됩니다

    전구 밝기가 궁금하시면

    정부 자동차검사소에 가면 무료로 점검하여 준답니다

    거기서 밝기 측정 후 알려 줍니다

    정확하게 숫자 수치로 알려줘서 교체해야 할지 안해야 할지 고민을 해결 해줄겁니다

    헤드라이트는 현대 모비스 등 부품점에서 따로 사면 금액이 얼마 안하니까 어두우면 교체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