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불타는 나방7787
불타는 나방778723.08.27

우리나라의 전통악기의 종류는?

세상에는 수많은 악기가 있잖아요?

서양은 바이올린,플룻등등 지금은 우리나라에 서양악기가 대중화가 더 된거 같아요.

근데요 우리나라에도 전통악기가 많잖아요?

그 종류를 알고싶어요..몇가지나 될까요?

우리나라 전통악기도 대중화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전통악기의 종류는 약 60여 종으로 파악되지만 실제로는 30여 종만이 연주에 쓰이고 있다고 하며 나머지는 연주법을 모르거나 음향효과가 미미하기에 사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단일 민족으로 다양한 악기를 보유하고 있는 나라는 세계적으로 드물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8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거문고, 가야금(12현으로 된, 우리 나라 악기를 대표하는 현악기) 해금(활대로 현과 현 사이를 문질러 소리를 낸다) 향피리 (향피리 관의 길이는 궁중음악과 민속음악이 쓰임) 세피리 (향피리와 거의 같으나 관이 가늘기 때문에 ‘가는 피리’ 즉 세피리라고부름) 편종 (쇠붙이로 만든 타악기의 하나) 대금 (황죽 또는 쌍골죽으로 만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악기) 양금 (다른 현악기와는 달리 작은 채로 현을 쳐서 소리를 내며작은 채로 현을 쳐서 소리를 내는 현악기) 아쟁 (국악기 중 음넓이가 가장 좁은 악기)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전통 악기로는

    가야금, 갈고, 거문고, 건고, 교방고, 금, 꽹과리, 나각, 나발, 노고, 노도, 뇌고, 뇌도, 단소, 당비파, 당적, 대공후, 소공후, 대금, 대쟁, 박, 부, 묵, 삭고, 방향, 생황 , 소고, 소금, 수공후, 슬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악기의 진동체의 형태와 그 연주법에 의한 분류로 서양악기와 같이 현악기·관악기·타악기로 나눌수 있습니다.

    현악기(絃樂器)는 통에 명주실 혹은 철사를 매어 뜯거나 켜는 악기이다. 연주법에 따라서 탄현악기·찰현악기·타현악기로 나뉩니다

    탄현악기(彈絃樂器)는 손가락이나 술대로 줄을 뜯는 현악기이다. 거문고·가야금·향비파·당비파·월금·금·슬·공후·대쟁 등이 있습니다

    찰현악기(擦絃樂器)는 막대기나 활에 송진을 발라서 줄을 그어 소리내는 현악기로, 해금·아쟁 등이 있습니다

    타현악기(打絃樂器)는 채로 줄을 쳐서 내는 현악기로, 양금 등이 있습니다

    관악기(管樂器)는 관에 입김을 넣거나 서(혀, reed)를 꽂아 부는 악기로 목관악기·금관악기로 나뉘고, 목관악기는 홑서악기·겹서악기·무황악기(無簧樂器)로 나뉘는데 한국악기에는 홑서악기는 없습니다. 무황악기는 횡취악기·종취악기로 나뉩니다

    겹서악기(複簧樂器)는 겹서(혀)를 꽂아 부는 악기로, 향피리·세피리·당피리·태평소 등이 있습니다

    횡취악기(橫吹樂器)는 가로 부는 악기로, 대금·중금·당적·지 등이 있습니다

    종취악기(縱吹樂器)는 세로 부는 악기로, 단소·통소·소·약·적·생황 등이 있습니다

    생황은 황엽 또는 금엽이라 불리는 금속 떨판을 가지고 있는데, 혀라고도 한다. 따라서 생황은 홑서악기로 분류됩니다

    금관악기(金管樂器)는 쇠붙이로 된 긴 관에 달린 취구에 입술을 진동시켜 소리내는 악기로, 나발 등이 있습니다

    타악기는 진동체를 채로 쳐서 소리내는 악기로 음높이가 없는 무율타악기와 음높이가 있는 유율타악기가 있습니다

    유율타악기(有律打樂器)는 음높이가 일정하거나 여러 음을 내는 타악기로, 편종·편경·방향·운라 등이 있습니다

    무율타악기(無律打樂器)는 음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타악기로, 꽹과리·징·바라·장구·북·소고·좌고·진고·용고 등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우리나라의 전통악기는 크게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현악기는 줄을 튕기거나 뜯어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대표적인 현악기로는 가야금, 거문고, 아쟁, 해금, 비파, 단소, 25현금, 12현금 등이 있습니다.


    관악기는 공기를 불어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대표적인 관악기로는 대금, 피리, 단소, 태평소, 나발, 생황, 훈 등이 있습니다.


    타악기는 울림통을 두드려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대표적인 타악기로는 장구, 북, 꽹과리, 징, 좌고, 편종, 편경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전통악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염불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법고, 법랑, 목탁, 용고, 징, 소고 등이 있습니다. 또한, 민속무용에 사용되는 장고, 꽹과리, 징, 북, 좌고, 대금, 피리, 단소 등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전통 악기는 50 ~ 60여 종에 달합니다. 궁중에서 쓰던 연례악에서는 피리·대금·당적·가야금·거문고·아쟁·편종·편경·장구·좌고 등 많은 악기들이

    쓰이지만, 민속음악에서는 피리·대금·

    해금·가야금·거문고·장구·북 등의

    악기가 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