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잔치 축의금은 얼마나 해야 할까요?
일년에 한번 볼까 말까한 친척의 돌잔치인데, 축의금을 얼마나 하는 게 좋을까요? 이것도 봉투에 담아서 이름 쓰는 건 결혼식 축의금과 똑같은지도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돌잔치축의금은 얼마나 해야할까요
친척이시죠 이런경우 10만원은 합니다
꼭 정해져있는건 아니지만 친척아니라도 친하면
10만원움 하는데 친척인데 5만원은 잘 안보냅니다
아무쪼록저의답변이조금이나마도움이되시길바래요
화이팅하세요!!!
친한 사이라면 보통은 10만 ~ 30만원 사이를 내는게 보통이고요
안친한데 직작 동료라면 그냥 참석 안하고 성의정도 표시하는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결혼도 아니고 돌잡이를 굳이 친하지도 않은데 가는건 좀 뻘줌하고 그렇더라고요
아는 사람 통해서 성의표시만 합니다 보통은
저같은 경우에는 지인이면 최하 10만원 정도 하고, 친하면 20만원 친척은 친한 정도에 따라 다르고
동기간은 따로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봉투에 할 때 결혼식 축의금처럼 이름을 기재하는 것이 관례로
알고 있습니다.
돌잔치 축의금 밥값이 워낙 비싸서 최소한 10만원은 해야되지 않으까요.돈도 결혼식 처럼 봉투에 이름 적어야 되구요.그래야 누가 얼마 냈는지 알수 있겠죠.
일반적으로 5만원에서 10만원 정도가 적당한 범위라고 생각합니다.
친한 친척이라면 조금 20만원 이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축의금을 담아서 봉투에 이름을 쓰는 것은 결혼식 축의금과 동일한 문화적 관행입니다. 그러니 돌잔치에도 축의금 봉투를 사용하고, 그 봉투에 축의금을 담아 이름을 쓰는 것이 적절합니다.
돌잔치 축의금은 가지 않을때는 5만원 직접 갈때는 10만원이 적당할거 같습니다 그런데 4명정도의 가족이 돌잔치 참여하면 20만원이 맞는거갇아요
요즘은 일반적으로 10만원정도 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그러나 개인사정에 따라서 금액은 변경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본인 능력에 따라서 부담없는 선에서 하세요.
일년에 한번 볼까 말까한 친척의 돌잔치여도 친척끼리는 서로돌고돌아서 주고 받기 때문에 그래도 형싱삭이라도 돈은 10만원 이상은 해야할가 싶습니다.
친분이 있으시다면 10만원 그냥 아는 사이는 5만원입니다.
하지만 돌잔치 참석을 안할 시에는 3만원만 냈습니다.
돌잔치 문화가 갑자기 생겼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