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신경외과 이미지
신경외과건강상담
외로운당나귀218
외로운당나귀21822.05.01

가위에 눌리는 증상은 왜 나타나는 것인가요?

나이
성별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한 번은 가위에 눌려서 고생한 일이 있습니다. 사방은 보이는 것 같은데, 몸은 굳은 것처럼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에서 발버둥을 치다가 다리에 쥐가나고 아파서 더 이상 몸에 힘을 주었다가는 큰 일 날 것같아 포기하고 얼마를 누워있다가 일어난 적이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왜 나타나는 것인가요? 심리적인 문제에서 일어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가위 눌리는 증상은 수면 및 각성 상태에서 발생하는 불일치로 인해서 몸은 이완되고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에서 의식이 먼저 깨어버리는 증상입니다. 구체적인 원인을 명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대부분 몸의 피로함, 스트레스, 불규칙적인 수면 패턴 등의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가위는 의학용어로는 수면마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수면에는 렘수면과 비렘수면이 있는데 렘수면은 rapid eye movement수면을 의미하며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얕은 수면에 해당하며 꿈을 꾸는 경우가 많으며 근육의 긴장도가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꿈을 꾸더라도 실제로 행동으로는 옮기지 않습니다. 이 상태에서 의식만 깨어날 경우 근육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므로 수면마비인 가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위를 눌리면 정상적으로도 환청, 환각, 환시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병적인 증상은 아닙니다. 수면마비가 발생하고 호전된 후 바로 다시 잠에 들게 되면 다시 가위를 눌릴 가능성이 있어 적절히 신체를 움직여 주거나 스트레칭을 하는 것도 재발을 막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또 스트레스 및 수면의 질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양질의 수면을 취하도록 침실환경등을 잘 조성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렘수면과 관련된 수면의 리듬에 이상이 생기면 인체를 조절하는 기능에 장애가 생기면서 가위눌림과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현대의학으로 명확하게 밝혀진 부분은 아닙니다...

    렘수면상태의증상으로 유추하고있습니다.

    심리적인 원인도 꽤 가능성이 있을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덕 의사입니다.

    의학적으로는 수면마비라고 부릅니다.

    수면 또는 가수면의 진정상태에서 뇌의 의식중추가 각성하여

    정신은 멀쩡하지만 몸은 여전히 잠들어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

    대개 REM수면 상태에서 경험하게 되는데요.

    원인은 잘 모르지만, 병적인 상태라기 보다는 정상적인 상태임을 인지하고 안심하는 것이

    도움이 되구요.

    필요한 경우 약물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새벽 저혈당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들도 있는데,

    이른 시간에 저녁 식사 후 공복 상태로 오래 있다가 새벽 2-3시경에

    수면마비 증상이 나타난다면 9-10시 경에

    가벼운 간식이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수면 마비라고 합니다. 의식은 깨어났으나 몸은 아직 깨어나지 않은 상태이지요. 보통 불규칙한 수면, 수면 부족 등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리적인 스트레스나 피로도 원인으로 되어 있구요. 증상이 자주 나타나지 않는다면 너무 염려하실 필요는 없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가위에 눌리는 현상은 렘수면 중에 갑자기 깨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경우에 따라 잠이 들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면 중 혹은 수면 전후기에 근육 긴장도 조절에 이상이 생겨서 나타납니다. 이 때 무서운 장면을 경험할 수 있으나 몸을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공포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불안을 유발하는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가위눌림의 흔한 원인입니다.

    가위눌림이 반복되시면 수면다원검사로 수면질환이 있는게 아닌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수면다원검사를 하는 신경과나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으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