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재료공학

다소협력하는물범
다소협력하는물범

구리나 쇠가 녹이 쓰는 이유가 뭘까요?

비맞고 그러다 보면 쇠가 다 녹쓰는데 비나 물에 쇠를 녹슬게 만드는 성분 같은게 있는건가요? 아시는 분 있으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전문가입니다.

    쇠가 녹슬게 만드는 주요 성분은 산소와 수분입니다. 비나 물에 포함된 산소와 이온들이 철과 반응하여 산화철을 형성하게 됩니다. 특히 소금이 포함된 물은 녹이 더 빨리 발생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

    녹이슨다는 것은 금속이 산화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먼 ,쇠가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철(붉은색)이되는 것입니다. 이때 물에는 철과 물이 만나몀 수산화철이되며, 다시 산소와 만나서 산화철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따라 물이 았으면 산화철이 되는 반응이 가속될 수 있습니다. 물 자체에 산소가 녹아있기도하구요 ^^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구리나 철 같은 금속이 녹이 드는 이유는 금속 표면이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 층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철은 산소와 결합해 붉은색의 산화철을 형성하고 구리는 산소와 결합해 녹색의 산화구리를 만듭니다. 물은 이 반응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빗물이나 습기에는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만나 약한 산성을 띠기도 해 금속의 산화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듭니다. 또한 염분이 포함된 물이나 공기는 전도성이 높아져 금속의 부식이 더욱 가속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