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 용해도 격자에너지 크기 비교
격자에너지는 '중심 이온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커진다' 뜻을 잘 모르겠습니다. 이 말은 예를 들어 NaCl이면 결정 격자 내에 있는 Na+와 Cl-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격자에너지가 커진다는 뜻 아닌가요?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중심이온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NaCl 이면 무엇이 중심 이온 인가요?
그리고 강의에서 Na>K>Rb 이렇게 왼쪽으로 갈수록 이온의 반지름이 작아져서 격자 에너지는 커진다고 하는데요. 격자에서 Na,K,Rb와 같이 있는 이온이 같다고 가정한다면, 이온의 반지름이 작아질수록 이온 사이의 거리가 커지기 때문에 격자에너지가 감소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왜 이온의 반지름이 작아지는데 격자에너지가 커지는 건가요? 그럼 '중심 이온 사이의 거리가 작을수록 커진다'말이 위배가 되는거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격자 에너지의 본질과 이의 결정 구조 내에서의 영향에 대해 깊이 있는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격자 에너지는 결정을 이루는 이온 간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로, 이온 결정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격자 에너지는 결정을 이루는 이온들이 무한히 멀어졌을 때 비교하여 결정 내의 균형 위치에 이르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나타냅니다. 이론적으로, 중심 이온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수록-이온 반경이 작아질수록- 서로의 인력이 강해져 격자 에너지가 증가합니다. 이는 쿨롱의 법칙(Coulomb`s Law)에 따라, 힘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입니다.
격자 에너지와 이온 크기 :
NaCl 결정에서 Na⁺와 Cl⁻ 이온은 각각의 이온 반경에 따라 격자를 형성하며, 이온 반경이 작을수록 중심 이온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어 격자 에너지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Na⁺, K⁺, Rb⁺ 등이 같은 반응 조건 하에 있을 때, Na⁺의 이온 반경이 가장 작기 때문에 격자 에너지가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여기서 중심 이온이라 함은 결정 구조 내에서 서로 인력을 가장 강하게 발휘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지칭합니다.이온 반경과 이온 사이의 거리
Na⁺와 K⁺는 각각 다른 이온 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Na⁺의 이온 반경이 K⁺보다 작기 때문에, NaCl 결정에서 Na⁺와 Cl⁻ 사이의 거리는 KCl 결정에서 K⁺와 Cl⁻ 사이의 거리보다 짧습니다. 이는 Na⁺가 작기 때문에 Cl⁻와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어, 서로간의 전기적 인력이 더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격자 에너지의 증가 원인
이온의 반경이 작을수록, 즉 Na⁺의 반경이 K⁺의 반경보다 작을수록, 해당 이온과 대응하는 Cl⁻ 이온 간의 거리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이온간의 전기적 인력이 강해집니다. 쿨롱의 법칙에 따르면, 전기적 힘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작용합니다. 따라서 거리가 줄어들면 인력은 증가하며, 이는 격자 에너지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이온의 반경이 작아질수록, 해당 이온과 짝을 이루는 이온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고, 이로 인해 격자 에너지는 증가합니다. 이는 NaCl과 KCl의 비교에서도 명확히 드러나며, NaCl이 KCl보다 더 높은 격자 에너지를 가지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원리가 격자 에너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