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액저축보험과 종신저축보험 유지 등에 대한 문의
현재 미래 대책으로 저축성 보험 2개
- 매트라이프 달러(무배당 유니버셜달러종신보험, 2018.11.30./20년/134.4달러 월납/현재 환급률 75.4%, 8814달러)
- IM라이프 저축보험(라이프파트너유니버셜종신보험, 월 30만, 19.05.16, 20년, 2350만원 기납, 해지시 1525만원)
를 가입해서 계속 돈을 내고 있습니다. 해지를 하면 큰 손해이기에 만기 이후까지 열심히 버티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만기가 되고 나서 해지하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연금식으로 수령하는 게 좋을까요? 조언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만기 후 해지보다는 연금 전환이 유리하지만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른데요. 해지 후 환급금 수령을 하면 장점이 일시금 확보가 되고 다른 투자처로 자금을 운용한다는 것이고 단점은 사망보장이 종료되고 해지환급금이 납입금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환급금은 과세 대상도 된다는 것입니다. 연금전환은 사망보장을 포기하고 연금으로 전환시 일정 기간 안정적인 현금 흐름 확보가 됩니다. 다만 연금 수령액이 기대보다 낮고 사망보장이 소멸된다는 것입니다. 다만 적합한 경우는 장수 리스크를 대비하고 안정적 노후 자금을 필요로 할 때 좋다는 것입니다. 장점은 평생 사망보장을 유지하고 상속세 재원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단점은 연금처럼 흐름은 없으며 필요시 약관 대출 활용이 된다는 것입니다. 매트라이프 달러 종신이나, IM라이프 종신 모두 해지 시 손해가 크고 완납 후 환급률이 상승하는 구조입니다.
특히 종신보험은 후반부에 환급률이 급격히 상승해서 완납 후 활용 전략이 중요하겠습니다. 그래서 일단 해지보다는 20년 납입 완료 후 활용 방안을 고심하는 것이 좋겠고요. 보험회사에 연금 전환을 하실 때에는 수령액을 비교후에 결정하는데 연금 수령액이 예상보다 적다면 사망보장 유지와 약관대출 활용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기 후에는 보험사에 연금 전환안과 해지환급금 비교 자료를 요청해 보시고, 연금 수령액이 충분한지 판단해보시기 바랍니다. 상속 목적이 있다면 사망보장 유지도 좋은 선택이 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지연 손해사정사입니다.
일단 현재 해지 하시면 원금 손실이 있으시니깐, 부담되지 않으신다면 원금회복시점 [대개 납입기간 끝나고 1년내외] 도래된 후에 해지할 지 연금전환할 수 고민해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안영근 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 두 보험 모두 장기 저축성 상품으로 중도 해지시 원금 손실이 크기 때문에 만기까지 유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만기 이후에는 해지 환급금이 원금 이상으로 오르므로 즉시 해지보다는 일정 기간 연금식으로 분할 수령하는 방법도 고려할만합니다. 특히 달러 종신보험은 환율 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어 환율이 높을때 일시해지보다는 장기 분할 수령이 안정적입니다. 두 상품 모두 노후자금 성격이 강하므로 생활자금 필요시 일부 인출 또는 연금 전환 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보험전문가입니다.
해지는 손해가 크기에 변액과 종신 저축 보험은 만기 유지를 하시는 것이 좋으며 만기 후 연금식 수령이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위해 조금 더 괜찮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