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0

정전기 방지 스프레이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겨울철에 정전기가 일어나는걸 방지하기 위해서 정전기 방지 스프레이를 뿌리게 되잖아요.

이런 스프레이를 뿌리면 실제로 정전기가 덜 나게 되는데,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전기 방지스프레이의 주성분은 계면활성제입니다

    계면활성제는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되며

    정전기가 발생하더라도 수분으로 방전되어 스파크가 생기지 않게됩니다

    여담으로 요새 정전기 관련질문이 많이올라오는걸 볼 수 있는데요

    바디로션만 잘 발라줘도 정전기가 현저하게 줄어드시는걸 경험 하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전기 스프레이에는 계면 활성제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계면 활성제는 수분과 대상 물체가 잘 섞이게 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스프레이를 뿌리면 계면 활성제의 작용으로 대상 물체가 주위의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을 흡수하여,

    표면에 전기가 흐르기 쉬운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정전기가 잘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됩니다.

    수분을 잘 끌어들이는 성질이 있는데, 수분을 이불이나, 옷에 끌어들여 전기가 잘 흐르게끔(전자(-)가 잘 이동하게 끔) 만들어 줍니다. 그래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죠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23.01.20

    정전기 방지 스프레이에는 계면활성제가 들어있습니다.

    정전기는 기본적으로 건조하면 나타나는데, 계면활성제가 주위의 수분을 잡아줍니다.

    따라서 표면에 수분이 생기기 때문에 정전기가 생기지 않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