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거래소의 테더를 활용하는 이유는 알겠습니다. 하지만
국내거래소의 테더를 활용하는 이유는 알겠습니다. 하지만 빗썸에서 보면 김프가 많이낄때는 빗썸의 테더조차도 김프가 같은 비율로 올라갔습니다. 그러면..지금처럼 김프가 거의 없을때는 테더를 매수해놓으면 추후 김프가 많이 올랐을때 김프차익을 실현할수 있거나..김프전에 매수한 테더로 해외거래소보내면 손실이없는것도 장점일까요? 데더도 김프가 끼니..
아무래도 테더 등 이러한 스테이블코인과같은 경우 김프가 끼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일시적으로 괴리율은 있을 수 있겠지만 상당히 미약할 것이니 이점 참고하셔서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네 말씀하신대로입니다. 주기적으로 한국거래소와 해외거래소간에 김치프리미엄으로 인한 테더금액 차이가 발생합니다. 지금처럼 양거래소간 테더차이가 없을때 사놓고 벌어지면 팝니다.
질문해주신 스테이블 코인 테더에도 김치 프리미엄이 끼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안타깝게도 스테이블 코인인 테더 등에도 업비트나 빗썸 등지에서 거래가 되면
김치 프리미엄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네, 김프가 거의 없을 때 테더(Tether, USDT)를 매수해놓는 전략은 이후 김프가 다시 오를 경우 차익을 실현할 수 있는 잠재적인 기회를 제공합니다. 여기서 고려할 점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김프와 테더의 관계: 김프가 발생하면 국내 거래소에서 비트코인(BTC) 등의 암호화폐 가격이 해외 거래소보다 높아지며, 테더 가격도 동일하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김프가 낮은 시점에 테더를 매수해두면, 이후 김프가 다시 발생할 때 테더의 가치가 오르며 차익을 실현할 기회가 생길 수 있습니다.
김프가 없는 시점에서 테더 매수의 장점:
차익 실현 기회: 김프가 없는 시점에 테더를 매수해두면 이후 김프가 발생할 때, 국내 거래소에서 비싸게 팔아 차익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해외 거래소로의 전송: 김프가 없는 시점에 매수한 테더를 해외 거래소로 전송해도 추가 손실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를 하거나 자산을 다변화할 때 유리합니다.
리스크와 고려사항:
김프의 변동성: 김프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언제 다시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김프가 다시 오르지 않으면 기대한 차익을 실현하기 어렵습니다.
환율 및 수수료: 해외 거래소로 테더를 전송할 때 환율 변동과 전송 수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예상치 못한 추가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전략적 접근:
김프가 낮을 때 테더를 매수하고, 김프가 발생할 때 매도하는 전략은 리스크를 감수하더라도 잠재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입니다.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을 감안하여, 자산을 다변화하고 리스크를 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김프가 낮을 때 테더를 매수해 두는 것은 이후 김프가 발생할 때 차익을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이는 변동성과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김프가 거의 없을 때에 테더를 매수해놓는다면 추후 발생하는 김프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김프가 발생하기 전에 테더를 매수해놓았다가 김프가 발생할 때에 시세차익을 노려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