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빈티지한타킨93
빈티지한타킨93

프라이빗 체인의 실적용 사례는?

체인은 크게 퍼블릭형 체인과 프라이빗형 체인으로 나뉘자나요?

퍼블릭이야 어느정도는 아는데

프라이빗체인을 적용한 기업의 대표 서비스가 어던게 있는지 궁금하네요.

그걸 기반으로 어떤 기업테마군이 블록체인을 적극 활용하는지 조사하고 싶습니다.

팩트기반으로 프라이빗 체인을 적용한 기업과 해당 서비스를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답변을 기반으로 자료 정리 좀 해볼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까칠한담비242
    까칠한담비242

    질문자께서 질문해주신 내용을 중심으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프라이빗체인을 적용한 기업의 대표 서비스가 어던게 있는지 궁금하네요. 그걸 기반으로 어떤 기업테마군이 블록체인을 적극 활용하는지 조사하고 싶습니다. 팩트기반으로 프라이빗 체인을 적용한 기업과 해당 서비스를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1. 현재 블록체인 기반의 은행공동인증 서비스인 뱅크사인이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하나의 블록체인(컨소시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각 은행이 노드로 참여하여, 고객의 공개키 값과 개인키 값이 맞는지를 인증함으로써 작동하며, 따라서 이 공동인증서만 있으면 이 블록체인과 연결된 많은 금융기관에서 공통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여러 은행들이 노드로 참여하여 세부적으로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에 해당되기는 하지만 그러한 노드가 소수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퍼블릭 블록체인에 대응되는 개념의 넓은 의미의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포함시킬 수가 있습니다.

      2. 다음으로 뱅크사인과 관련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을 드리자면, 지금도 한 은행에서 발행된 공인인증서를 다른 은행의 인증서로도 사용이 가능하긴 합니다만, 실제로 등록을 하는 과정에서 각종 인증을 거쳐야 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불편한데 이런 부분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3. 또한 일반적인 금융 기관이 발행하는 공인인증서의 유효기간이 1년이기 때문에 1년 마다 갱신하는 불편함이 있고 범용 공인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해서는 발급비를 지불해야함을 생각해 볼 때 뱅크사인을 통한 공인인증서의 발급은 유효기간이 3년에, 인증서 발급 또한 무료이기 때문에 고객에 대한 혜택과 편의성을 더욱 늘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

      4. 끝으로 신한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케이뱅크 등 국내 주요 은행들이 모두 이 뱅크사인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므로 이용하기가 편리하고 접근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