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지개는 왜 7색깔 일까요??
무지개를 보면 항상 7색깔입니다.
왜 7색깔인지 궁굼해서 잠을 못자겠어요.............
제발 알려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색상은 딱 잘라서 7색깔을 가지는게 아닙니다.
태양빛의 파장대에 따라서 우리눈에는 7색깔처럼 보이긴 하지만 좀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경계부분에 좀 더 여리고 파장대가 약해지는 구간이 같이 있습니다.
즉, 1과 2사이에 1.1/1.2/1.3.../2 이런 구간이 있다는 얘기죠...아날로그식으로 변한다고 보시면되고
그 영역이 좁아서 우리는 단지 7색깔로 보인다고 얘기하는 것입니다.
도움 되셨기를...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빛은 여러 파장의 빛으로 구성되어 있는 데 각 파장별로 굴절률이 다르다. 따라서 태양빛인 가시광선이 빗방울 같이 투명한 곳을 통과할 때 반사와 굴절이 되어 무지개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것을 우리 육안으로 보면 5색 또는 7색의 아름다운 무지개가 된다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가시광선 적외전 자외선으로 나뉘어지는데
가시광선이라함은 무지개의 7가지 색깔이 합해져서 우리눈에 보이는 밝은 빛을 말합니다
이것이 유리나 물방울에 의해 분산되면 7가지 색으로 나누어 집니다
안녕하세요. 배영광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햇빛이 공기와 물 사이를 지나는 순간 여러 가지 색깔로 휘어짐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빨간색은 보라색보다 약간 더 빠르게 통과하는데 이러한 속도 차이로 인해 무지개가 여러 가지 색깔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복선정 약사입니다.
빛 중에서 우리 눈에 보이는 빛은 가시광선영역 입니다. 이 가시광선 영역 안에는 셀 수 없이 많은 색깔(서로 다른 파장)의 빛이 모여있는 것 입니다.
우리가 단순하게 7개로 나눠서 말하는 것이지 실제로는 훨씬 더 다양한 색깔이 연속적으로 존재합니다.
(프리즘을 통과한 햇빛을 관찰해 보시면 빨주노초파남보 각각 색깔들의 경계를 보시면 명확하게 구분된게 아닌 연속적인 스펙트럼인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