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잘웃는반딧불17
잘웃는반딧불17

끝에 학 이 들어가는 성리학.천문학 등

여러가지 학문을 보면 끝에 학 자가 들어가는 학문은 대체적으로 얼마의 시간을 연구가 되서 학 이란 것이 된 거 가요?? 또 어떤 이유로 학문이 되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러 학문들이 끝에 '학' 자를 가지고 있지만, 정확히 언제부터 '학문'으로 인정받게 되었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수십 년 이상의 연구 기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단순히 오랜 시간이 흘렀다고 해서 '학문'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구의 질과 체계성 또한 중요합니다. 그리고 오랜 기간 동안 연구된 결과들이 체계적으로 누적되어야 '학문'으로 인정받습니다. '학문'은 단순히 사실이나 정보의 나열이 아닌,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이론 체계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학문은 과거의 모든 사건과 일 중에서도 지식적인 부분만을 정리해놓은 지식체계입니다. 혹은 그 지식을 익히는 행위를 포함하기도 합니다. 학문에 능통한 사람을 학자라고 부르며 학문에서 주장 또는 사상 철학 등을 달리하는 갈래 또는 그러한 사람들의 모임을 학파라고 합니다. 성리학은 송나라 시대의 사상적 기반이었으며 우리나라에는 고려 말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 들여온 이후 조선조 5백년 동안 정치와 교육 등 사회전반에 걸친 사상적 토대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