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꿈을 이룬 곰돌이 875
꿈을 이룬 곰돌이 875

아이오딘 분자는 I2 인데 왜 1몰이고 분자량도 6.022×10²³일까요?

I2 는 왜 1몰의 아이오딘 이라고 하나요?

I 에서 I2 가 되는건 원자 갯수와 질량은 두배가 되지만 몰수는 유지가 되는건가요?


그래서 I2 가 6.022×10²³ 아이오딘 분자 라는 것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자세하고 쉬운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I2는 왜 1몰의 아이오딘이라고 하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몰(mole)이란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1몰은 아보가드로 수(6.022×10²³)만큼의 물질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아이오딘(I)은 원자 번호가 53이며 원자량은 126.9 g/mol입니다. 이를 통해 1몰의 아이오딘은 126.9g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I2는 두 개의 아이오딘 원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분자입니다. 따라서 원자 갯수는 2배가 되지만 분자의 몰수는 유지됩니다. 즉 1몰의 아이오딘 분자는 2개의 아이오딘 원자가 결합한 것이기 때문에 126.9g x 2 = 253.8g이 됩니다.

    아이오딘 분자의 몰수가 6.022×10²³이 되는 이유는 아보가드로 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1몰의 아이오딘 분자는 2개의 아이오딘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2 x 6.022×10²³ = 1.2044×10²⁴개의 아이오딘 분자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1몰의 아이오딘 분자의 몰수가 6.022×10²³이 되는 것입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1몰의 아이오딘 분자는 2개의 아이오딘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아보가드로 수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1몰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분자량은 분자의 질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그 값은 분자를 구성하는 각 원자의 원자량을 합한 것입니다.

    아이오딘 원자의 원자량은 대략 127이며, 따라서 아이오딘 분자인 I2의 분자량은 127+127=254가 됩니다.

    그리고 몰은 어떤 물질이 포함하고 있는 원자, 분자, 이온 등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1몰은 그 자체가 약 6.022×10^23개를 의미하는데, 이를 아보가드로 수라 합니다.

    따라서, 아이오딘 분자 1몰은 약 6.022×10^23개의 아이오딘 분자를 의미하며, 그 질량은 1몰당 254g이 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분자량과 몰의 개념은 서로 다르지만 서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즉, 분자량은 분자의 질량을, 몰은 분자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