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8

금리와 이자율 상관관계에 대해서 질문

안녕하세요 금리와 이자율 상관관계에 대해 질문합니다

금리(이자율)가 하락하면 물가가 상승하는데

왜 반대로 물가가 하락하면 이자율이 하락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동진 경제전문가blue-check
    신동진 경제전문가23.09.10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자율과 기준금리는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높은 이자율은 대출을 어렵게 하고, 투자를 저해하여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높은 기준금리는 경기 침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낮은 이자율과 기준금리는 대출을 촉진하고 경제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여 경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이자율과 기준금리는 또한 금융 시장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높은 이자율은 저축을 유도하고, 투자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식 시장이나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낮은 이자율은 투자를 유도하고, 경기를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주식 시장이나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화폐의 시장 공급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소비의 증가와 함께 기업들의 실적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요. 그럼 기업들은 실적의 상승과 함께 인건비를 인상하면서 점차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이에요

    다만 물가가 하락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업들의 실적이 하락하는 시기일 가능성이 높고 이 시기는 경기침체의 시기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경기침체를 벗어나기 위해서 금리를 인하하는 정책을 펼치게 되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와 금리의 상관관계는 경기의 상황도 연관이 있기 때문에 복합적으로 생각해봐야 합니다. 우선 물가는 수요가 공급보다 높을 때 증가하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경기가 호황이기 때문에, 고용 및 임금이 상승하면서 소비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경기가 과열이 되고 물가가 지나치게 상승하기 때문이, 이를 통제하고자 중앙은행은 기준 금리를 올리는 경향이 있고, 이에 따라서 시중금리 또한 상승하게 됩니다. 반면에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은 경기가 침체국면으로 진입하여 소비침체가 벌어질 때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중앙은행은 경기를 부양하고자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시행하고,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하면서 금리를 떨어뜨려서 소비와 투자 등을 촉진시켜서 경기를 다시 활성화 시키고자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물가가 하락하게 되면 그만큼 돈의 가치가 높아지게 되어 소비, 투자 등이 위축되기 때문에(디플레이션 우려) 이에 따라 중앙은행이 기준 금리를 낮춤에 따라 이자율이 하락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하락하면 경기침체 등을 유발하는 더 이상의

    금리를 높게 유지할 요인이 사라져 금리를 낮추기에

    그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