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얄쌍한누에20
얄쌍한누에20

Aws로 앱개발 서버비용 질문드립니다

Aws로 외주업체 앱개발제작에 들어갔는데요

만약 잘 돼서 일방문자5만명 정도의 커뮤니티 사이트일 경우 서버비용이 어느정도 나올까요?

웹앱이라서 코인판과 비슷할 것 같아요

최적화작업은 기존에 나와있는 것들 적용하기로하고

동영상은 없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AWS의 경우 사용량에 따라 비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일 방문자 5만 명 정도의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서버의 크기와 데이터베이스의 운영 방식, 그리고 저장소 사용량 등이 모두 고려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추측하자면 최소한 수백 달러에서 수천 달러까지 나올 수 있습니다. EC2 인스턴스, RDS 데이터베이스, S3 저장소 등을 혼합해서 쓰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AWS의 비용 계산기를 사용하면 보다 정확한 견적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최적화와 리소스 할당을 잘 조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AWS를 활용한 앱 개발의 서버 비용은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지지만, 기본적으로 트래픽, 데이터베이스 요구사항,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 등의 요소에 좌우됩니다. 일방문자 5만 명 규모라면 적절한 인스턴스 유형과 오토스케일링을 고려해야 합니다. EC2 인스턴스, RDS 데이터베이스, S3 스토리지 사용량 등을 기반으로 대충 월 수백 달러에서 수천 달러까지 다양합니다. 더 구체적인 수치는 AWS의 비용 계산기를 활용해 현재 예상되는 트래픽과 자원 사용량을 입력해 추정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AWS 서버 비용은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지는데 트래픽량 서버 사양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사용 등이 주요 비용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하루 방문자 5만 명의 커뮤니티 사이트라면 트래픽이 많을 수 있으므로 EC2 인스턴스 로드 밸런싱 RDS(데이터베이스) S3(스토리지)와 같은 다양한 AWS 서비스를 고려해야 합니다. 대략적으로 월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까지 비용이 나올 수 있으며, 특히 데이터 전송량이 큰 비중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비용은 사용량에 따라 다르므로, AWS의 비용 계산기를 활용해 예상 비용을 산출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인엽 전문가입니다.

    AWS에서 웹앱을 호스팅할 경우, 특히 방문자 수가 많은 커뮤니티 사이트의 경우, 서버 비용은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음은 AWS에서의 서버 비용을 추정하기 위한 주요 요소는...

    1. 웹 서버 인스턴스

    웹 서버를 호스팅하기 위해 EC2 (Elastic Compute Cloud)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인스턴스 유형: 웹사이트의 트래픽과 처리량에 따라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중간 규모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t3.medium이나 t3.large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비용 예시: t3.medium 인스턴스는 시간당 약 $0.0376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월간으로 계산하면 약 $27-$30 정도입니다. 트래픽에 따라 더 큰 인스턴스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비용은 더 증가합니다.

    2. 데이터베이스

    웹앱이 많은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해야 한다면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또는 DynamoDB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RDS: 일반적인 SQ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db.t3.medium 인스턴스는 시간당 약 $0.10 정도입니다. 월간으로 계산하면 약 $75 정도입니다.

    • DynamoDB: 스케일에 따라 비용이 달라집니다. 데이터 저장과 요청 수에 따라 요금이 책정됩니다.

    3. 스토리지
    • S3 (Simple Storage Service): 파일 저장을 위해 S3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은 저장 용량과 데이터 전송량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1GB의 저장 용량에 대한 비용은 약 $0.023입니다.

    4. 콘텐츠 배달 네트워크 (CDN)

    트래픽이 많은 웹사이트의 경우 CloudFront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 비용 예시: 전송량에 따라 비용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1TB의 데이터 전송은 약 $85 정도입니다.

    5. 데이터 전송
    • 인바운드 데이터 전송은 무료이지만, 아웃바운드 데이터 전송은 요금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1GB의 아웃바운드 데이터 전송은 약 $0.09입니다.

    6. 부하 분산 및 기타 서비스
    • ELB (Elastic Load Balancer): 여러 인스턴스 간의 트래픽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사용은 시간당 약 $0.025에서 시작하며, 데이터 전송에 따른 추가 비용이 있습니다.

    • Elastic Beanstalk: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관리가 용이하지만, 이 경우 EC2, RDS 등의 리소스 사용량에 따라 비용이 달라집니다.

    • 최적화: 비용 절감을 위해 인스턴스의 크기와 수를 조절하거나 예약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링: AWS에서 제공하는 비용 모니터링 도구를 활용하여 비용을 추적하고 예산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AWS에서의 서버 비용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서버비용은 아무래도 5만명기준으로 월200은 잡으셔야 할것같은데요.

    근데 실제 5만명이 접하면 광고나 부수익은 더많겠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