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이제 환율 1400원이 뉴노말일까요?

최근 환율이 계속 오르고 있잖아요. 그 영향으로 수입 물가도 오르는 거 같은데 환율 1400원이 이지 뉴노말이 될거라는 이야기가 있더군요.

정말 환율 1400원이 뉴노말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환율이 1400원이 뉴노말이 될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환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환율 1400원이 이제는 경제 상황에 따라 상시적인 기준점이 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과거 외환위기와 같은 심각한 경제적 파장이 없더라도, 환율 변화가 외환 당국의 정책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이 1400원대를 지속하는 것은

    개인적으로는 어렵다고 보여집니다.

    현재 환율이 상당히 높은 수진이긴 합니다만

    뉴노말일지는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젠 환율 1,400원이 뉴노말일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것은 너무 수동적인 생각으로

    어느 정도 우리나라의 정부도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환율의 경우 매일 변동하는 것입니다. 사실 1400원이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는 말이 많이 있지만

    미국 대선이나 국제 정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좀더 시장상황을 지켜보는게 좋을 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에 근접하면서 이를 새로운 표준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현재의 1400원 환율은 과거와는 다른 상황으로 봐야 하며, 이를 뉴노멀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이는 미국의 금리 인상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환율 상승이 지속되고 있음을 반영한 것입니다.

    그러나 환율 1400원을 뉴노멀로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우려도 존재합니다. 고환율이 수입 물가 상승을 초래하여 국내 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환율 상승이 수출에 유리하다는 기존 인식과 달리, 수입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산업 구조에서는 오히려 기업의 영업이익이 감소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환율 1400원을 새로운 표준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환율 변동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11월 5일 미국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면 미국의 재정적자 폭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그러면 미국은 국채발행량을 늘릴수 밖에 없는 상황이 올거라는게 지배적입니다 미국채 금리 상승은 달러 강세 재료죠

    그래서 사실 트럼프가 당선되면 원달라 환율이 1400원대 안착하면서 뉴노말이 될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결론은 11월 5일 트럼프냐 해리스냐 결과에 따라서 뉴노말로 가냐 기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아직 정확하게 된다 안된다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뉴노멀이 될거라는 분위기인것 같긴 합니다.

    여러 전문가들도 현잰 1400원이 뉴노멀이 될거 같다라는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정부에서 여러가지 정책이 나와야 될 거 같은데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될거 같습니다.

  • 저는 1400원이 뉴 노멀은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1250~1300전후가 뉴 노멀이 될수있다고 봅니다.

    1400은 뉴노멀이 되려면 적어도 10년이상 남지않았을까 싶습니다.

    향후 점점 상승하기는 할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