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차피 사줄 장난감이더라도 한번은 거절하는것이 맞나요?
7살인데요 장난감을 사달라고 떼를 쓰는 건 아니고 때때로 마트 같은 곳에 가면 장난감 이야기를 꺼내요
크게 막 떼를 쓰거나 하지는 않아서 단호하게 안된다고 한 적은 없고 계속 사주는데 빈도가 점점 늘어나는 것 같아요
안 사주는 건 아니고 너무 자주 사주지 않으려고 한번씩 끊어서 거절하는 것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무한정 허락하게 되면 아이의 버릇이
않좋아지는 경향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이와 평상시 대화를 통해
장난감을 사주는 상황이나 이유를 설명해주어 조절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장난감을사달라한다
거절한다
다시사달라한다
사준다
이패턴이지속되면
아이는 더욱사달라고강하게떼를쓰는
부적절강화물이될겁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마트에 갈 때 항상 사는 것이 아니라 마트에 가기전에 사전에 미리 약속을 하고 장을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선물 같은 경우는 특별한 날에 받으면 더욱 의미있고 기쁜 선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시면
선물에 대한 의미를 알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기준을 정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에게 미리 이러한것을 알려주고 기준에 맞게 행동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경제적 부담이 아닌 교육적으로 너무 자주 사주는건 좋지 않아요. 아이가 장난감을 사는 행위에만 몰두하게 하면 안됩니다. 가지고 노는 것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해줘야 합니다. 장난감이 너무 없을 때는 좀 사줘야 합니다만, 사달라고 할 때마다 매번 사 주는 것도 좋지 않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매번 사주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그렇기에 어느정도 완곡하게 거절도 해보시고 제한도 두시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원하는 대로 다 사주게 되면 아이는 절제력이 없어지고, 참을성도 없어지게 될 것입니다
장난감 사 주는 날을 정해 보기 바랍니다
예를 들면, 생일날, 어린이날, 크리스마스 날에만 장난감 사는 날로 정해도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네 아이가 원한다고 모두 사주시면 안되며
가끔은 안된다고 하셔서 말을 해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마트에 가기 전에 마트에서 지켜야 할 약속들에 대해서 미리 아이와 이야기를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내년에 초등학교에 가게되면 이런 현상은 거의 없어진답니다
다 한 때인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장난감을 사달라고 한다면 단호하게 안돼 라고 말을 해주세요.
아이에게 계속 장난감을 사주기 때문에 장난감을 사주는 것이 당연시가 된 것 입니다.
때로는 단호함도 필요로 합니다.
모든 장난감을 갖고 싶다고 해서 다 살 수 없다 라는 것을 알려주도록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