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미국 금리가2%차이 난다던데, 이렇게되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영향이 궁금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와 미국 금리차이가 2%차이 나는데, 이렇게 장기화되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영향이 무엇이있는지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가 2%로 벌어지게 된 것은 이미 작년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이렇게 금리격차가 심화되면서 발생했던 것이 바로 달러환율의 상승이었어요. 달러환율이 상승하게 되자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원자재 및 제품 가격들이 크게 상승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가격 상승이 결국 지금의 인플레이션율 상승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어요
✅️ 미국과의 금리 차이가 꾸준히 높게 나게 되면 아무래도 우리나라에 투자되었던 투자자금이 미국으로 빠져나가 미국에 투자됨으로써 우리나라 자산시장(주식, 부동산 시장 등)이 상대적으로 미국 자산시장보다 약세를 보이게 될 개연성이 크고, 실제로 그렇게 진행되어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와 미국연방준비제도위원회의 금리스프레드가 2%를 넘으면, 외국자본이 금리가 높은 곳으로 유출되어 달러환율이 올라갑니다. 유가 등 수입원자재비용이 늘어나고 기업 고용과 투자가 축소되어 경기가 하락합니다.
우리나라와 미국간의 기준금리 차이가 너무나 장기화된다면 이에 원달러 환율이 강세를 보일 수 있고 더불어서 수입물품에 대한 가격이 너무나 높아 어려울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질문하신 우리나라와 미국 금리의 금리차이가 2%인 상황이 우리 경제에 미치게 될 영향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미국과 금리차이가 심하면 달러의 유출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2% 차이가 난 것이 2년에 가까워지고 있지만 달러 유출 등의 조짐은 없어 보입니다.
그렇기에 고금리로 인한 어려움은 있지만
2% 금리차이로 인한 어려움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돈은 기본적으로 금리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흐르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미국 보다 항상 높은 금리를 유지하며 외환시장의 균형을 유지했었습니다
하지만 기준금리가 역전되면서 환율이 크게 상승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외환시장 관리가 어려워졌습ㄴ디ㅏ.
이 금리가 장기화되면 1,400원 넘는 환율이 뉴노멀로 자리잡을 수 있기 때문에 격차를 점차 줄여나가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첫째,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으로 자금을 유치하기 어려워질 수 있어 외환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둘째, 한국 기업들이 외화로 차입하는 비용이 증가하여 기업의 경영환경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