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치과

어쩐지웅장한악어
어쩐지웅장한악어

신경치료를 꼭 해야하나요? 그리고 크라운을 꼭 씌워야하나요?

안녕하세요 30대 남자입니다.

파란 원과 빨간 원 모두 매복 사랑니로 인해 생긴 충치입니다.

파란 원은 현재 신경치료 1번 진행했구요 빨간 원은 아직입니다.

의사선생님께서는 둘 다 신경치료 후 크라운 씌워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신경치료를 해야만 하는 치아가 맞는지 궁금하여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빨간 원 쪽 치아도 꼭 해야하는 상태인가요?

그리고 신경치료를 꼭 해야한다면 크라운만이 정답인지 궁금합니다.

레진으로 치료하는 방법도 있다고 들었어요.

레진은 설령 깨지더라도 다시 보완하기 쉬운데

크라운은 치아를 발치하고 임플란트까지 가야하는 리스크가 더 크다고 들었어요. 크라운 아래쪽으로 충치가 생길 수도 있어서요. 그리고 크라운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도 치아를 깎아놓은 상태라 계속 크라운을 하기 힘들고, 치아가 부서진 경우에도 레진과 달리 크라운의 문제는 더 크다고요.

저는 임플란트까지 갈 가능성이 제일 낮은 최적의 치료를 받고 싶습니다.

알아보면 크라운도 리스크가 적지 않은 것 같은데 무조건 크라운만 추천하시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그리고 빨간 원 위쪽 치아도 매복 사랑니로 인한 충치때문에 신경치료를 하였는데요

레진으로 마무리 후 3~4년 정도 경과된 상황입니다.

그 쪽도 보시자마자 크라운 해야한다고 하시는데 그렇게 진행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일까요?

  • 1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파란색 동그라미에 있는 치아의 경우에는 충치가 상대적으로 깊어 보입니다. 충치를 제거하고 신경이 노출이 되면은 신경 치료 가능성이 있습니다.

    빨간색 원 안에 있는 치아의 경우에는 뒤쪽으로 충치가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일반 치과 재료로 메꾸기가 힘든 위치입니다. 따라서 크라운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사진에 보이는 부분은 잇몸안쪽이고 접근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뿌리쪽 충치라 일반적으로 크라운이나 신경치료후 크라운 치료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1. 신경에 가깝게 깊은 충치가 있어 신경치료는 불가피합니다.

    2. 신경치료를 한 치아는 약해져 있는 상태이고, 신경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구멍을 뚫기 때문에 이 구멍으로 주된 감염경로가 됩니다. 레진으로만 막아두는 것보다는 크라운을 씌워 완전히 밀봉을 해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