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심심한박새218
심심한박새218

뜨거우면 팽창하고 차가우면 수축하는 이유?

대부분의 물질은 뜨거우면 팽창하고 차가우면 수축하는데요

그 과학적인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물은 예외지만 그것 외에는 대부분이 그런데 어떤 이유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기본적으로 뜨거운 것이 에너지가 높습니다.

    에너지가 높다는 것은 분자들이 움직임이 커진다는 뜻입니다.

    기체의 경우 에너지가 많은 채로 많이 움직여지니 팽창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물질은 분자, 원자 등 입자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점을 이용하여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그전에, 온도라는 개념을 알고가셔야합니다. 온도는 물리적으로 입자들의 평균 운동에너지(활발한 정도)입니다. 즉, 온도가 높으면 입자들이 활발한 상태라는 뜻이며, 온도가 낮으면 활발하지 않고 정적인 상태입니다.

    이제 본론을 이야기하면 어떤 물질의 온도가 높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이 물질은 입자들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입자들이 활발한 상태가 될것입니다. 그러면 입자는 활발하게 움직임으로써 거리가 늘어날 것입니다. 그래서 물질이 팽창하는것이죠.

    반대로 온도가 낮을 경우 입자들의 상태가 정적이기 때문에 거리가 줄어들 것입니다. 그래서 물질이 수축하는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체에 열을 가하면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고 이로인해 분자간의 간격이 멀어집니다. 이로인해 물체 전체의 부피는 증가 됩니다. 이를 열팽창이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팽창과 수축은 분자의 운동량과 관계가 있습니다. 뜨거워진다는 것은 열에너지를 받는다는 것인데 에너지가 높은 상태가 되면 분자의 운동량이 많아져 팽창하게됩니다. 반대로 차가워지면 에너지가 낮은 상태가 되어 분자의 운동량이 더 줄어들기 때운에 수축하게됩니다. 물도 얼기전까지는 같구요, 얼게 되면 얼음결정이 되어버리기때문에 팽창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분자들은 제자리에서 떨리거나 진동합니다.

    특히 기체는 움직임이 자유롭기때문에 열에너지를 얻으면 운동량이 커져 더빠르고강력하게 활발히움직입니다.


    이러한작용때문에 온도가올라가면 주변 물질들을 밀어내 압력이 올라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온도에 따른 팽창과 수축하는 이유는 부피 때문입니다.

    온도가 높아지면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져 그만큼 부피가 커지게 되고 온도가 낮을 때는 반대입니다.

    하지만 물의 경우는 얼음이 되면서 분자의 운동은 적어졌지만 얼음의 분자 구조가 육각형이 되면서 부피가 더 커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