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캐니 밸리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에 대해서 인간과 로봇과 관련해서
인간이 로봇이나 인간이 아닌 것들에 대해 느끼는 감정에 관한 로보틱스 이론이 불쾌한 골짜기라는 뜻의 언캐니 밸리라고 하는데 왜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는지 궁금하고 로보틱스 이론은 어떤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언캐니 밸리는 로봇이나 인공지능이 인간과 비슷하게 만들어졌을 때 발생하는 인간의 불편한 감정이나 거부감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 이론은 일본의 로봇공학자 모리 마사히로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외형이 인간과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른 로봇에 대해 더 불쾌감을 느낀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밝혀냈습니다. 로봇이나 인공 존재가 너무 인간과 유사해지면, 그 미묘한 차이가 받아들이기 힘든 거리감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는 우리 뇌가 인간과 비인간을 식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일치 때문이라고 설명됩니다. 이 개념은 로봇 디자인 및 인간-로봇 상호작용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언캐니 밸리'라는 용어는 인간이 로봇이나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인간을 닮아갈수록 호감도가 증가하다가 특정 시점에서 급격히 불쾌함을 느끼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이는 로봇이 너무 인간과 유사해지면, 미묘한 차이가 더욱 두드러져 사람들에게 불안감과 이질감을 주기 때문에 사용된 것입니다. 이 용어는 일본 로보틱스 학자 모리 마사히로에 의해 1970년대에 제안되었습니다. 이 이론은 로봇 공학 및 디자인 분야에서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할 때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됩니다. 인간과 로봇의 감정적 교류를 연구하는 데 있어 이러한 이론은 로봇이 사회에 적응하고 수용되기 위한 설계 방향을 제시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언캐니밸리는 우리나라 말로 불쾌한 골짜기라고 해서 로봇이 인간과 흡사하게 해동을 하는데 이상한 행동을 하면서 불편함을 느껴 거부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로봇이 인간과 흡사하여서 어느 순간 인간이 로봇을 인간과 동일하게 생각하면서 인간과 동일시하는데 로봇이 이상한 행동을 하면서 이런 거부감이 발생되면서 그것을 불편한 골짜기라고 합니다.
그리고 로보틱스 이론은 로봇의 조립부터 설계 작동 사용 정보 처리등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로봇과 관련된 기계, 전기, 컴퓨터 공학등 로봇과 관련된 과학의 한 분야라고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불쾌한 골짜기는 일본의 로봇공학자 모리 마사히로가 1970년대에 제시한 이론으로, 로봇이 인간과 너무 유사하게 만들어질수록 오히려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로봇이 인간과 익숙한 외모와 행동을 보일수록 처음에는 호감도가 높아지지만, 인간과 완벽하게 구별 불가능할 정도로 유사해지면 오히려 기대에 어긋나는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는 마치 실제 인간이 아닌 인공적인 존재를 직면하는 듯한 거부감을 유발하며, 이를 곡선으로 표현한 것이 불쾌한 골짜기입니다. 이 이론은 로봇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캐릭터, 가상현실 아바타 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인간과 너무 유사한 외모와 행동은 섬뜩함이나 공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