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정말청순한잉어
정말청순한잉어

10/10 트럼프 대중국 관세 인상 발언

트럼프는 올해 4월에도 고율의 대중 관세를 공언하며 시장에 대한 상당한 변동성을 초래했지만, 실제 정책으로 이어지지 않고 협상 카드로만 작용한 경우가 많았죠. 이번 관세 인상 발언 역시 실질적 조치보다는 APEC전 협상용 압박 카드일 여지가 있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트럼프 대중국 관세 인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저는 APEC 용 협상용 압박카드로 보여집니다

    그러니깐 11월 이후로 적용 시점을 거진 3주나

    미뤄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것을 노벨평화상 발표이후에 직후에 했다는것이 상당히 실망스러운 행보이긴합니다. 만약 노벨평화상을 받았어도 그랬을까 싶기도합니다. 다만 대중 희토류 수입과 관련하여 무역관세 100%인사으을 통한 협상의 우위를 잡으려고 하는시도로 보인다는 점에서 그 특징이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물론 APEC전에 미국이 중국을 압박하여 더 우위에서 협상을 이끌려는 전략일 수 있습니다

    • 그러나 트럼프가 실제 관세전쟁을 벌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투자 자산들이 큰폭으로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중국 시진핑 주석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회담을 약 20일 앞두고 중국이 협상 주도권을 선점하려는 의도로 풀이되는데, 트럼프도 만만치 않아서 핵심 의제에서 '더 큰 양보'를 얻기 위한 '빅딜' 전략을 상호 가동하고 있다고 분석됩니다. 장기화되진 않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해당 발언은 실질적인 시행보다는 APEC 전 중국을 압박하기 위한 협상 카드 성격이 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에도 유사한 고율 관세 공언을 협상 지렛대로 활용하며 시장 변동성을 유도한 사례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대중국 100% 관세 발언은 실제 조치라기보다 협상용 압박 카드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APEC을 앞두고 협상력을 높이려는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그러나 시장은 발언 자체에도 민감하게 반응해 불안이 커진 상태입니다.

  • 과거에도 트럼프는 대외정책에 있어 고강도 압박과 위협적인 발언을 먼저 던진 후에 실제 정책 이행 여부는 협상 과정에서 유동적으로 가져가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번 대중국 발언 역시 많은 전문가들은 협상에 앞서 미국이 우위를 가져가기 위한 선제적 압박용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가 말씀하신대로 협상용 멘트를 상당히 잘 사용합니다 이번에도 당연히 APEC전 대 중국 협상용 멘트긴 할거 같습니다 트럼프 때문에 글로벌 투자자들만 고통을 받네요

    저처럼 주식이나 코인 투자 하는 분들이 상당히 많으실텐데 참 트럼프가 밉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