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배가 부른것은 왜일까요?(식사후 몇시간이 지나도...)
식사후 몇시간이 지나도 계속 배가 부른것은 왜 일까요?
살이 너무 쪄서 그런가요?
복부 팽만은 마치 배에 풍선이 들어 있는 것처럼 배가 팽창된 느낌을 말합니다. 장으로 과다하게 흡입된 공기, 특정 음식물, 숙변, 가스, 소화액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복부의 충만감, 트림, 신물, 구역질, 방귀, 복통, 경련 등의 소화기 증상뿐 아니라 횡격막과 폐를 압박해 숨이 찰 수도 있습니다.
원인
복부팽만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빠른 속도로 갑자기 배가 부풀어 오른다면 외상이나 복부대동맥파열로 복강 안에 피가 고이게 된 것이므로 응급 질환을 고려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만성적인 복부팽만은 기능성 위장장애, 과민성대장증후군과 관련이 높습니다. 염증성 장 질환, 간경변 , 심부전, 신증후군에 의한 복수, 장 폐쇄, 악성 종양, 복수, 척추측만증, 월경전증후군, 소장 세균의 과증식, 장속 미생물의 불균형, 우유 분해 효소 결핍, 특정 약물, 거식증, 폭식증, 우울증도 복부팽만을 유발합니다. 음주와 흡연은 복부팽만을 유발시키고 악화시킵니다.
생활 습관 개선은 다음과 같습니다. 젊거나 여성의 경우 몸에 꽉 끼는 옷들로 인해 복부팽만을 느낄 수 있으므로 식사 후 복부팽만이 심한 경우나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헐렁한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후 소화불량이나 복부팽만이 심하다면 조금씩 자주 먹는 습관이 좋습니다. 우유제품에 대한 소화능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우유제품을 피해야 합니다. 과도한 섬유질의 섭취 역시 복부팽만 및 트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적당한 양의 섭취를 권장합니다.
약물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복부팽만에 동반된 증상으로 소화불량, 속 쓰림, 복통이 있다면 소화제, 제산제가 도움이 되고, 변비가 심하면 소화제, 배변완화제가 도움이 됩니다. 자극성 변비약을 장기간 사용하면 2차적으로 장 마비가 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장 운동이 너무 활발하거나 통증이 있다면, 장운동 억제 약물을 사용합니다. 유산균은 식품보충제로 장내의 세균총의 균형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위장관 운동촉진제는 장운동을 촉진하여 소화를 돕고 복부팽만을 줄여주는 데 효과적입니다. 우울증과 연관된 복부팽만이라면 항우울제가 도움이 되며, 일부 항우울제는 복부팽만, 통증, 설사 등의 증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5XXXXX13790?sub=%EC%9B%90%EC%9D%B8
밥을 많이 먹은 것도 아닌데 속이 더부룩하고 답답할 때 '헛배가 부른다'라고 하죠.
이런 증상을 '헛배부름', '헛배부름증'이라고 하는데, 겨울에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헛배부름증의 원인은 대부분 소화불량인데요.날씨가 추워지면 활동량이 줄면서 위장의 연동 운동이 감소하고, 혈액순환이 잘 안되는 데다가, 자율신경계가 기온 변화에 잘 적응하지 못해 소화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소화가 잘 안되면 뱃속에 가스가 차면서 입맛이 떨어지고 메스꺼운 증상이 나타나는 겁니다.
현대인들에게 흔한 장 질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있을 때도 복통과 설사, 변비 등이 동반되며 속이 불편한 증상이 생기고요.
위 근육의 수축력이 약해지고 연동 운동이 줄어드는 위 무력증도 헛배부름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헛배부름이 잦다면 소화 과정에서 가스가 많이 생성되는 식품은 적게 먹어야 하는데요.
일부 콩류나 탄산음료, 밀가루 음식, 식이섬유가 많은 과일, 채소 등은 가스가 많이 생기는 식품이고요.
반대로 달걀과 무, 파인애플 등은 가스를 배출해 위장을 편안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다고 하네요.보통은 식후에 배가 부르고 소화가 안된다고 오시는분들은 기능성소화불량인 경우가 많습니다. 위의 기능이 떨어져서 음식이 소화도 안되고 음식물을 아랫쪽인 십이지장으로 내려주는 운동기능도 떨어진것이지요. 간혹 속쓰림도 호소하는경우도 있기는 합니다.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있지는 않지만 과식이나 자극적인 음식섭취에 관련이 있습니다. 비만은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나 과식, 폭식으로 인해 비만과 기능성소화불량이 같이 생겼을수가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