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컨트랙을 통한 토큰 생성에 제재가 걸린다면 플랫폼 코인들의 가치는 유지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재작년부터 암호화폐 시장에 큰 자금이 몰려들어 이더리움 스마트컨트랙을 이용한 새로운 코인들이 많이 등장했는데, 이 중 스캠이라 불리는 코인이 대다수를 차지해서 막무가내식 토큰 생성에 규제가 걸릴 것이라는 말이 많습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만약 이렇게 토큰생성에 제재가 걸린다면 이더리움이나 이오스 같이 스마트컨트랙을 통한 플랫폼의 의미가 큰 암호화폐의 존재가치는 퇴색될 것 같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플랫폼 코인은 떨어지지 않을까요?
질문자께서 질문해 주신 내용을 중심으로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스캠이라 불리는 코인이 대다수를 차지해서토큰 생성에 규제가 걸릴 것이라는 말이 많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플랫폼 코인은 떨어지지 않을까요?
개인적인 생각이라는 점을 먼저 말씀드리면서 답변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제 생각에 블록체인에는 개발에 대한 리더십을 가진 주체들은 존재하지만, 주인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그것이 정부든 국가 기관이든 누가 되었든 토큰의 발행에 관여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만약에 이러한 외부의 규제가 블록체인에 적용되어 그것을 따를 수 밖에 없다고 한다면 블록체인는 존재 가치를 상실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탈중앙화라는 블록체인의 특성을 잃게 되고 중앙화됨으로써 기존의 서비스에 비해 크게 다를 바가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토큰의 발행은 자유일지라도, 발행된 토큰으로 ICO를 진행한다든가 토큰을 판매한다든가 하는 문제는 법적, 제도적, 행정적으로 정부의 영향력이 충분히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의 규제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정부의 규제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시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스캠 프로젝트들이 사업을 마음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면 오히려 경쟁력 있는 프로젝트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도 있고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플랫폼 코인의 생태계 안에서 많이 활동하기 시작한다면 플랫폼 코인의 가치가 상승할 수 있는 긍정적인 면이 있을 것입니다.
끝으로 현재와 같이 법적, 제도적으로 모호하고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는 프로젝트들이 사업을 이어가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규제, 꼭 필요한 규제가 도입된다면 오히려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