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응결핵은 뭔가요?
어릴적부터 하늘에 떠있는 구름을 보고 크면서 궁금한게 구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궁금해요. 그리고 구름과 응결핵이 관련이 있는지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지표면에 있는 수분이 증발하면서 구성됩니다. 이 증발된 수증기가 모여서 구름을 형성하고 해당 수증기가 포화상태가 되면 비로 다시 내려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가까이 있던 공기가 위쪽으로 올라가게 되면 기압이 낮아져 부피가 늘어나게 됩니다.
공기의 부피가 늘어나면 기온이 낮아지게 되는데,기온이 이슬점 아래로 떨어지면 공기 중에 들어 있던수증기가 한데 엉기어 물방울이 됩니다. 이런 작은 물방울들이 모인 것이 구름입니다.
구름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갈 때 까지 공기가 상승해야 합니다
※구름의 생성 과정 : 불포화 공기의 상승 → 단열 팽창으로 냉각 → 상승 응결 고도에서 포화 응결 → 구름의 생성 (응결 고도 : 공기가 상승함에 따라 기온과 이슬점이 같아져서 응결이 시작되는 높이)
자연상태에서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
저기압 중심으로 공기가 모여들면서 상승할 경우기류는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습도가 높은 공기가 저기압으로 모여들면서 상승할 경우, 기압과 온도가 낮아져 공기가 팽창하면서 상대습도가 높아지고. 온도가 점점 이슬점 이하로 떨어지면 습기가 응결되어 구름이 생성됩니다.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가된 물이 공기가 적은 위쪽으로 이동하면 단열팽창이되며 온도가 내려갑니다. 이에따라 액체나 고체로 상태변화하는데, 주변의 먼지나 기타 달라붙을 수 있는 물질에 우선적으로 달라붙으며 얼기거나 맺히기 시작합니다.
이 달라붙을 수 있는 이물질들을 응결핵이라고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가 상승하면서 기온이 낮아지면, 응결되면서 물방울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그 작은 물방울들이 모여서 구름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먼지등의 물질이 있으면 수증기가 달라붙기 쉬워서 구름이 더 잘 만들어진다고 하는데, 이런 역할을 하는것이 응결핵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생성되는 원리는 지상에서 데워진 따뜻한 온도의 수증기가 상승기류를 타고 높은 곳으로 올라가면 대류권에 있는 낮은온도의 대기와 만나 물방울로 변합니다. 이것이 구름 입니다.
응결핵은 대기 중에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 알갱이가 생길 때 그 핵이 되는 알갱이를 말합니다. 크기에 따라 거대핵(반지름 약 1∼20 ㎛)·큰 핵(반지름 약 0.2∼1 ㎛)·에이트켄핵(반지름 약 0.0006∼0.2 ㎛)으로 나뉩니다.
또, 발생 원인에 따라 해염핵·연소핵·먼지핵 등으로 부를 때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흡습성의 물질로 구성되는 흡습핵은 구름 알갱이를 생기게 하는 데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대기 중의 응결핵의 수는 구름이 발생할 때의 조건에 따라 매우 다를 뿐만 아니라, 장소에 따라 공기의 오염 정도도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표시하기는 곤란하지만, 공기 1 ㎤ 중에 수백에서 십만 개 정도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찬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 공기가 상승하면서
단열팽창이 일어나고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생성됩니다.
구름 응결핵은 구름입자들 속에 있는 대기 성분들이 각각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형성되는 현상입니다. 구름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응결핵이 필요합니다.
응결핵은 구름이 형성될 때 수증기가 응결할 수 있는 입자로, 먼지, 소금 결정, 황사, 자갈 등 다양한 물질이 응결핵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대기 중에는 이러한 응결핵이 존재하며, 수증기가 응결핵에 응집되어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형성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수증기는 공기 중의 물분자와 충돌하면서 응결이 발생합니다. 이때 응결핵이 존재하면 수증기 분자가 응결핵에 응집되어 물방울로 형성되거나, 낮은 온도에서는 얼음 결정으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형성된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모여 구름을 형성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상이나 바다에서 물이 증발하면 그 수증기가 하늘로 올라가는데 그게 구름입니다. 근데 그냥 구름이 바로 비가 되지는 않고 지상에서 올라온 미세먼지라든지 먼지의 수증기가 뭉쳐지면 비가 되어 땅으로 내립니다. 이때 먼지와 미세먼지 등은 응결핵이라고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만들어집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는 햇빛을 받아 가열되면서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이때, 응결핵이 있으면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응결핵은 공기 중의 미세한 먼지, 꽃가루, 해염 등의 입자를 말합니다. 응결핵이 없으면 공기 중의 수증기는 응결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응결핵은 구름이 형성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는 비교적 따뜻한 공기가 주변보다 가벼워 상승할 때에 형성되는것이고
공기가 상승하면서 냉각되어 수증기가 매우 작은 물방울로 응결됩니다
그러나 수증기를 구성하는 물분자들이 갑자기 한군데 모여서 이처럼 큰 물방울을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일정 면적을 가진 고체 표면등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답변이 도움됐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