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강대국이 우주개발에 심혈을 기울이는데, 인공위성은 어떤 원리로 지구 주변을 도나요?
세계 강대국이 우주개발에 심혈을 기울이는데, 인공위성은 어떤 원리로 지구 주변을 도나요?
돌다 보면 무수한 인공위성과 궤도가 비슷해서 충돌도 할 것 같은데, 충돌한 사례는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인공위성은 지구 주변을 도는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충분한 속도로 발사되어야 합니다. 발사 후 지구 중력에 의해 인공위성은 곡선 운동을 하며 지구 주변을 돕니다. 인공위성은 지구 중력과 힘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고도에 위치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인공위성은 지구 주변에 있는 다른 인공위성, 우주선, 우주 쓰레기와 충돌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공위성에는 충돌 회피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으며, 미리 정해진 궤도를 유지하도록 관제되고 있습니다.
인공위성과 우주선 충돌 사례는 지금까지 적지만, 최근에는 우주 활동의 증가와 함께 충돌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제우주정거장에서는 충돌 가능성이 높은 경우 인공위성의 궤도를 변경하는 등의 대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위성을 잡아 당기는 중력과 위성이 밖으로 나가려고 하는 원심력이 서로 평형을 이루면 위성은 지구로 떨어지지도 않고, 떨어져 나가지도 않는 상태가 되어 일정한 궤도를 그리며 운행하게 됩니다. 말하신 것처럼 돌다 보면 무수한 인공위성과 궤도가 있기 때문에 충돌을 피하기 위해 선진국들은 각 궤도를 배분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