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치과

별무리등
별무리등

찬물을 마셔도 신김치를 먹어도 찡해나며 시린증상이 있읍니다

찬물을 마셔도 시리고 신김치를 먹으면찡해나요 최근들어 이런증상들이 나타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 치료방법이 있을까요? 신경이 쓰여 음식을 예전처럼 마음놓고 먹지 못합니다 전문가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성영 치과의사입니다.

      해당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우선, 치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시리다고 내원하시는 경우들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잇몸염증이나 치주염으로 잇몸이 들뜬 경우 - 잇몸이 부어 치아와의 접촉이 약해짐으로써 치아 뿌리에 자극이 노출되어 시린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과에 내원하여 스케일링이나 필요시 잇몸치료 등의 치료를 통해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2. 치경부(치아의 잇몸의 경계부분)가 마모된 경우 - 치경부는 치아의 가장 바깥쪽 물질인 법랑질(에나멜)이 가장 얇은 부위로, 단단한 음식이나 질긴 음식을 즐겨 드시거나 씹는 힘이 강한 경우, 칫솔질을 좌우로 심하게 하는 경우 등, 마모가 가속화되어 법랑질 다음 층인 상아질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그외 치아의 다른 부위에 깨진 부위나 금이 간 경우 - 이런 경우에는 대개 질긴 음식을 씹을 때나 시거나 단 음식을 먹을 때 시큰한 통증이나 찌릿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잇몸이 좋지 않아 찬물이나 뜨거운 물에 시린 경우에는 스케일링이나 잇몸치료 등으로 호전될 수 있으나, 치주염이 심한 경우에는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치아에 이상이 생겨 예민해진 경우 초기에는 찬물에 시리거나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뜨거운 물에는 반응이 없지만(급성 치수염), 신경이 점점 변성되어 가면서 점점 찬물에 대한 반응은 약해지고 뜨거운 물에 대한 반응이 커질 수 있습니다(만성 치수염). 급성인 경우에는 단순히 자극을 제거하는 것으로(ex. 떼워주는 등의 치료) 치료가 종결되지만, 만성 치수염의 경우 자극을 제거하더라도 신경이 변성되어 되돌아오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경치료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시린 증상은 다양합니다. 충치에 이환될 경우에도 시린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잇몸 질환이 있을때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특정 치아에 지속적으로 찬물을 마시거나 신김치를 먹어도 시린 증상이 있다면 치과 방문 후 검사를 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심할 경우에는 충치로 인하여 신경치료를 해야할 수 있습니다.

      다만 치아가 세월이 지나 옆부분이 닳아서 나타나는 증상이었다면 단순히 레진 치료를 통해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치과 방문을 해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치아가 시린 이유는 치아안에 있는 신경이 자극을 받아서 입니다.

      치아안의 신경이 자극을 받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수 있습니다.

      우선 마모증으로 인해서 치아에 마모가 진행된 경우에 시린증상이 있을수 있어요. 이런경우의 시린증상은 통증이 있거나 하지 않는다면 마모가 진행되는 것을방지한다면 시린증상이 줄어들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충치나 치아에 금이 갔을 경우에 시릴수 있습니다.

      이런경우에는 충치나 금이 간 부위를 제거후에 치과용재료로 충전을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치과에서 자세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