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13

일산화탄소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이유와 가스 중독을 감지하는 방법은?

일산화탄소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이유는 뭘까요? 가스에 중독되었다는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나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궁구미궁구메
    궁구미궁구메22.10.14

    안녕하세요.

    일산화 탄소 중독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데, 무색, 무미, 미취의 가스로 사람의 감각으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지 인지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연료의 연소시 산소가 필요한데, 주로 밀폐된 공간에서 연료가 연소될 경우 내부의 산소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때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연소시 불완전 연소가 진행되는데, 이때 일산화 탄소가 발생하게 됩니다. 우리몸의 혈액에는 헤모글로빈이라는 산소를 운반하는 것이 있는데, 호흡기로 CO 일산화 탄소를 흡입시, 카복시 헤모글로빈을 형성하게되고, 이는 산소 운반기능이 없는 것으로 체내 산소운반능력이 크게 떨어져 질식 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 일산화탄소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밀폐된 공간에서 충분한 환기와, 일산화탄소 누출 경보기등을 설치하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산화탄소의 경우 무색, 무취(무향), 무색, 무맛의 특징을 가진 가스라 누출시 경보기가 없으면 알아차리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가 많이 발생하죠.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일산화탄소 누출 경보기를 설치해야합니다. 가스 누출사고시 일산화탄소는 공기와 비슷한 무게이며 조금 더 가볍기 때문에 위로오르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경보기를 천장에서 10-30cm사이에, 벽면과 10cm이상 떨어진 거리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일산화탄소는 집안 모서리 부분(벽과 천장에서 10cm이내)에서는 위치하지 않아 이곳에 경보기를 설치하면 안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일산화탄소에 중독이 된 상태가 되면 구토나 두통 어지러움 등이 있어 알 수는 있지만

    잠이들거나 의식이 없는상태에서 중독된다면 모른채 사망합니다.

    그리고 중독이 되기전까지 지속적인 노출이 있을때는 인지 할 수 없습니다.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기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예방하려면 일산화탄소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피함으로써 중독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난방이나 조리를 할 경우에는 연료가 완전히 연소할 수 있게 밀폐되지 않은 장소에서 한다는 등)

    일산화탄소가스 감지기가 있어 요즘 가정에도 많이 설치하니 참고하셔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자는시간에 가스누출이 되면 이미 뇌의기능이 마비된상태이기때문에 알아채도 대처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조기경보기를 지면으로부터 150센치미터 위에 설치하고, 자는곳주변에 설치하는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가스입니다.

    다량 흡입 시 인체로 느낄 수 없어 위험물입니다.

    암모니아 같은 냄새가 심하게 나는 가스의 경우는 알아차리기 쉽지만, 일산화탄소는 감지기가 아니라면 알 수 없습니다.


  • 일산화탄소는 냄새가 나지 않고 색깔이 없기 때문에 사람이 감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고가 자주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설치하는 것이 그나마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