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는 왜 인과 예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나요?
안녕하세요? 공자의 사상을 살펴보면 배워야 할 점도 되게 많은거 같습니다. 그 중 인과 예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던데요~ 왜 그렇게 그걸 중요하게 여긴걸까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내가 살던 때는 정치적으로 아주 혼란스러운 시기였어. 중국 영토는 여러 나라로 분열되어 있었고, 각 나라의 군주들은 천하를 통일하기 위해 계속해서 전쟁을 치렀어. 끝없는 전쟁 속에 백성들은 굶어 죽거나 싸우다가 죽어야 했지. 고통스러운 시기에 나 같은 철학자들은 어떻게 하면 인간이 더 나은 세상에서 살 수 있을까를 고민했단다.
『논어(論語)』공자와 제자들이 세상 돌아가는 이치, 정치와 경제, 문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토론한 내용이 담겨 있는 책이다.
나는 그 해결책으로 군주가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 즉 ‘인(仁)’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어. 사람이 가장 소중한 존재라는 생각을 가지면 다른 사람을 도와주거나 보살펴 주기 위해 애쓰게 되고 그러면 결국 사회가 평화로워지고 안정되겠지. 나는 이렇게 사회의 질서가 바로잡힌 상태를 ‘예(禮)’라고 생각했어. 인간이 가지고 있는 바른 품성을 잘 실천한다면 전쟁과 같은 사회 혼란을 잠재울 수 있을 거라고 믿었단다.
[네이버 지식백과] 공자 아저씨, 왜 인과 예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셨나요? (질문으로 시작하는 초등 인문학, 2017. 01. 10., 오늘, 최미선, 이형진)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자는 세상 모든 것 모든 사람이 인덕(仁德)을 지향하고, 인덕을 갖춘 사람만이 정치적으로 높은 지위에 앉아 인애(仁愛)의 정치를 한다면, 세계의 질서도 안정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그 수양을 위해 부모와 연장자를 공손하게 모시는 효제의 실천을 가르치고, 이를 인의 출발점으로 삼았습니다. 다음은 예를 중시하는 보수주의 사상인데 공자는 또한 인의 실천을 위해서는 예(禮)라는 형식을 밟을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예란 전통적이고, 관습적이며, 형식이며, 사회규범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유교에서 전통주의를 존중하고 형식을 존중하는 것은 바로 이 예를 중시하기 때문이고 그래서 덕이 있는 위정자가 도덕과 예의에 의해 교화하는 것을 이상적인 지배방법이라 생각했습니다. 예로서 인을 묻는 안희의 질문에 그는 극기복례(克己復禮)라고 답하였다고 합니다. 극기복례라 의미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이기고 예에 따르는 삶이 곧 인(仁)”이라는 것이지요. 이것은 그의 사상이 규범으로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질서를 회복하기 위한 보수주의적 정치사상과 연결되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