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리차 1%로 인한 한국경제의 미래는?
안녕하세요. 결국 어제 FOMC에서 대다수의 전문가들에 예측대로 0.75%의 금리인상을 단행했네요. 이제 금리차가 무려1%인데 앞으로 한국경제는 더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은데 자이언트 스텝으로 인해 벌어진 금리차가 한국경제에 어떤 파급효과를 가져올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미 기준금리차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한 결과, 전년 동월 대비 미국의 기준금리 변동 폭이 한국의 기준금리 변동 폭보다 1%p만큼 커질 경우, 원/달러 환율의 상승률은 8.4%p 추가 상승하여 더욱 가팔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경제는 미국의 금리인상 -> 미국 투자수요 증가(예금이자와 유사) -> 달러 수요 증가 (강달러) -> 원화수요 감소 -> 환율 상승 가 계속 반복되고 있습니다.
즉, 투자수요의 유지 및 환율방어를 위하여 한국은행도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현재 PF대출 , 채권시장의 위기 등으로 금리인상을 하지 못할 수도 있기에 2가지 케이스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따라가기 - > 급격한 금리 증가 -> 가계 및 기업부채 부담 -> 채권 및 PF의 문제 심화 및 부도, 파산이 나타남
2.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불가 -> 급격한 환율증가 -> 수입물가 증가로 기업, 가계에 악영향 -> 이에 따라 사업구조가 부실한 기업의 부도및 파산, 가계의 생활물가 상승으로 생활부담 증가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