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수요일
수요일

흙은 어떤성분으로 되어있나요? 궁금

사람은 죽어서 다시 흙으로 돌아간다고 하는데 흙이란

어떤 성분으로 이루어져있나요? 흙은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흙에는 일반적으로 돌, 자갈, 유기물 등의 고형물이 약 50% 내외이고 토양공기와 토양수분이 각각 25% 정도 차지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흙은 언뜻 보면 늘 그대로 인 것 같지만 사실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데요, 우선 흙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흙이 생기는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는데요, 첫번째로 일반적인 경우로서 큰 바위가 오래 세월을 거쳐 비, 바람, 기온, 생물 등의 작용을 받아 부서져 쪼개지고 또 쪼개져서 가루가 되며, 이 가루가 모여서 흙이 생기는 과정입니다. 1cm 두께의 흙이 만들어지는 데는 약 200년의 세월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두번째로는 좀 더 특별한 경우로 여러 해 동안 나뭇잎이나 나뭇가지, 여러 생물들의 죽은 잔해들이 쌓이고 쌓여 지속적인 압력을 받아 그 안의 수분이 전부 빠져나가서 유기물이 모여서 생기는 흙입니다. 첫번째처럼 바위가 부서져 돌, 자갈, 모래나 더 가는 가루가 모여 흙이 되는 경우에 흙이 되는 최초의 바위를 가리켜 어머니가 되는 바위라는 뜻으로 모암이라고 부르며, 또한 흙이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진 것을 모재라고 합니다. 이 모재가 여러 작용에 의하여 흙의 층위가 나누어져 비로소 흙으로 탄생합니다. 이때 흙은 일반적으로 돌, 자갈, 모래나 더 가는 가루들과 유기물 등의 고형물(무기물+유기물)이 약 50% 내외이며, 그 외에도 토양공기와 토양수분이 각각 25% 정도로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기물의 5%내외로서 적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흙은 광물 입자, 유기물, 물, 공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흙의 광물 성분은 암석이 오랜 시간 동안 풍화되며 작은 입자로 분해된 것으로, 주로 규산염과 산화철, 점토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동식물이 분해된 유기물은 흙에 영양분을 공급하며, 물과 공기는 흙 속에서 미생물과 식물 뿌리의 생존을 돕습니다. 흙은 암석이 기온 변화, 물, 바람, 생물 활동 등 자연적인 풍화 작용을 통해 서서히 분해되어 형성되며, 이는 수천에서 수만 년에 걸쳐 이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