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관 선수의 느린 공을 왜 못 치는 걸까요?
최강 몬스터즈에 출연하는 유희관 선수의 느린 공을 왜 못 치는 걸까요? 프로에 있을 때도 유희관 선수는 까다로운 선수였다고는 하지만, 그 느린 공을 못 치는 것이, 어떤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식한 오리입니다.
야구에는 호흡이라는것이 존재합니다.
알고맞으면 덜아프나 방심하고있을떄 맞으면 더 아프듯이
유희관선수는 상대방의 호흡을 잘 읽고 상대가 불편해 하는 타이밍이 공을 잘던지지요 거기에
뛰어난 볼컨트롤로 상대가 불편해하는 위치로 공을던집니다.
또한 유희관 선수의 공이 시속 130키로로 속도로는 일반 투수에 비해서 느리지만
공의 회전수가 140~150키로미터를 던지는 선수들 수준으로 나옵니다.
거기에 유희관선수가 구사하는 구종도 굉장히 다채롭지요.
즉, 치기 불편한 타이밍, 치기 불편한위치, 높은 공의 회전수, 다채로운 구종 으로인해
유희관선수의 공을 치기 힘들게 만들며, 치더라도 공이 높게 떠서 아웃당하는것이지요.
시속은 130킬로라고 하지만 실제로 체감해보면 이게 느린속도가 아니에요 140-150정도에 못 미칠뿐 여전히 빠른것은 마찬가지입니다. 시속이 저렇게 구석구석에 찌르면 치기가 굉장히 어렵고 저 정도 구속이라도 변화구를 섞으면 타자입장에서는 애초에 어떤 구종을 던질지 모르면 타이밍 맞추기 힘든 것은 마찬가지 입니다. 변화구 들어올줄 알고 대비했는데 갑자기 130이 들어오면 엄청 빠르게 느껴집니다. 노림수가 좋은 투수였습니다
공이 빠르고 느린 것이 다가 아니라는 거죠.
느린 공이라고 해도 타자자와의 수싸움으로 예쌍하지 못한 공을 던지고 또 스트라이크존의 구석을 이요하면 까다로운 공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희관 선수의 느린 공을 왜 못 치는 건지 궁금하신가봐요프로선수들은 아무래도 빠른공 위주로만 계속 보고 훈련을 햇고
느리지만 구위가 좋아서 맞더라도 수비가 좋은 프로리그에서는 플라이아웃을 당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