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살 아들을 키우는 중인데, 어떤 동물을 키우는게 좋을지 추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5살 아들이 있는데 동물을 키우고 싶어합니다. 어떤 동물을 키우는게 좋을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와이프 저 아들 3인가족이고 맞벌이라 주중엔 집을 비웁니다. 강아지는 아무래도 집을 비우는 시기가 있어 힘들것 같고 고양이 외에도 다양한 동물들이 있는데 어떤 동물을 키우는게 교감능력도 높힐 수 있고 키우는데도 그렇게 안 힘든 동물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햄스터 추천드립니다.햄스터는 사람과 친해지기도 쉽고, 귀엽고 재미있는 행동을 많이 보여줍니다. 햄스터를 키우면 아이가 동물과의 교감능력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명의 소중함과 존중을 배울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자녀가 원해서 반려견을 키울까를 고민하신다면 동물을 키우시는 것 자체를 반대합니다.
아이들은 자기가 모든 관리를 다 하겠다고 네고를 하려고 하지만 결국 개학하면 학교 가고 학교 끝나면 학원갑니다.
그 생활 몇년하면 대학가서 술먹고 연애 하느라 집의 강아지는 본체만체이고
더지나면 취직해서 야근에 힘겨워 하다 적당한 시기 되면 결혼하고 자기 가정을 꾸립니다.
그때까지 가는 시간이 자녀가 5살이라면 빠르면 20년 정도이겠네요.
요즘 강아지들은 특별한 이상이 없고 의학적으로 방치되지 않는다면 20년 이상을 생존합니다.
그때까지 기간동안 실제 보호자는 지금 질문을 하시는 보호자분 부부가 될것입니다.
그렇기에 아이의 의사가 중요한게 아니라 질문자님 부부는 과연 동물을 키울 수 있는 사람인가? 라는 질문에 답을 하셔야 합니다.
일말의 주춤거리는 지점이 있다면 키우지 않는걸 권합니다.
특히 강아지를 키우고자 갈등하는 지점의 근거가 반려견을 키우면 아이 정서에 좋다는 부분인데
반려견을 키워서 아아들 정서가 좋아지는게 아니라
반려견이라는 약자를 대하는 부모의 태도를 보고 자녀의 인성이 좋아지는거랍니다.
때문에 부모가 반려견을 키움에 있어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각오가 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반려견을 들이시게 되면 그 반려견과의 생활양식 차이로 발생하는 충돌로 인해 부모가 보이는 인상 찌푸림, 짜증 등은 오히려 자녀들의 정서 발달과 인성 발달에 방해가 되거나 오히려 역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맞벌이인 경우 반려동물에게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때 처리해줄 부모의 부제는 오히려 자녀에게 부모에 대한 반감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더더욱 추천되지 않습니다.
그런 이유로 부모되는 보호자가 자신이 강아지를 키울 수 있는 사람인지에 대한 각오가 선행되어야 하니
자녀분, 배우자분을 데리고 서점에 가셔서 반려견을 키우는것에 관한 책 3권 이상을 구매하셔서 자녀분과 함께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어 보시고
과연 강아지를 키울 수 있는 가정인지, 환경인지를 자녀분과 같이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자녀분이건 배우자분 그리고 질문자님이건 책 3권을 정독하기 어렵거나 귀찮아하거나 다 읽지 못한다면
절대로 강아지를 키우시면 안됩니다.
강아지를 키우는것은 모든 가족이 각각 책 3권을 함께 정독하는것보다 어렵고 힘들며 정성이 필요한 일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