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국제통화기금과 SDR에 대해 궁금한 점 있어요
IMF 즉 국제통화기금은 돈을 어디서 얻나요?
기금을 운영 하는것도 돈이 있어야 하는데 각나라별로 펀드처럼 IMF라는 곳에 투자 하는식으로
운영 한다는 개념으로 보면 되나요?
그렇다면 어느나라가 얼마나 투자하고 있나요??(물론 상식적으로 미국이 제일 많겠지만 )
그리고 SDR 특별인출권 개념이 너무어렵네요 다들 어렵게 설명해서....
자세히 쉽게 알려주세요 ㅠㅠ
국제통화기금은 세계무역 안정을 목적으로 설립한 국제금융기구로 1944년 체결된 브레턴우즈협정에 따라 1945년에 설립되어, 1947년 3월부터 국제부흥개발은행(IBRD: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와 함께 업무를 개시한 국제금융기구다. 이 두 기구를 총칭하여 브레턴우즈기구라고도 하며, 약칭은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국제통화기금)이다. 2011년 기준 가입국은 총 188개국이며, 본부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다. 설립 목적은 국제적인 통화 협력을 보장하고 환율을 안정시키며 국제 유동성을 확대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국제통화 문제에 대한 뛰어난 연구기관이자 통계 정보센터이며, 자문 협력기구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운영자금은 각국의 국제 무역 규모, 국민소득액 등에 따라 회원국 정부의 출자로 형성된다. 회원국은 일시적인 국제수지 불균형에 직면할 경우 그들이 필요로 하는 외환을 IMF로부터 자국통화로 구입할 수 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IMF 회원국은 세계은행(IBRD 또는 World Bank라고도 합니다)의 당연 회원국이 됩니다. 매년 최소 두 차례 회동을 갖습니다. 위의 24명의 회원국으로 구성된 이사회(Executive Board)가 수행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IMFC에 의해 통제됩니다.
특별인출권은 국제통화기금 가맹국이 국제 수지 악화 때 담보 없이 필요한 만큼의 외화를 인출할 수 있는 권리 또는 통화입니다. 특별 인출권의 ISO 4217 통화 코드는 XDR입니다. 특별인출권의 가치는 IMF가 5년마다 정하는 '표준 배스킷 방식'에 의해서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