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만한 아이 adhd 검사 시기는 언제가 좋을까요?

2021. 03. 29. 15:35

초등학교에 입학 할 시기가 되니 아이의 산만함이 눈에 띄기 사작했습니다. 제가 관찰하기에 또래아이의 일반적인 행동보다 좀더 까불거리고, 외부자극에 못참고 바로 반응하는 등 조용한 순간을 잘 견디지 못한다는것을 느꼈습니다. 특히 말이 많고 상황에 맞지않는 장난스런 말을 자주 해댔습니다. 보건소에 간이로 하는 검사에서 경계성이라는 결과를 들었습니다. 알아보니 검사비용이 적지않고, 검사하는 곳마다 결과도 조금씩 다르다고 하니 정확한 결과를 얻으려면 몇세 정도에 검사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총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개인적인 치료에 대한 시기는 빠를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ADHD의 가장 중요한것은 '초기'치료와 '칭찬과지지'라고 생각합니다.

초기에 이런 반응들을 발견하고 치료가 동반되어야 이후 성인기가 되기전까지 예후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글로는 어떤 것인지 자세한 것은 파악하기 어려운듯합니다.

먼저 중요한것은 정신과 치료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문제로 고민이 많으신듯합니다.

힘내세요

2021. 03. 31. 12:51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문기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서는 ADHD의 다양한 증상들로 인해 아이의 괴로움이 크고, 건강한 발달을 방해한다면 가급적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을 합니다. 적절하게 치료받지 못해 다양한 문제들이 지속되면 청소년기, 성인기에도 어려움이 지속되기 때문입니다. 정식으로 ADHD가 진단된다면 도움이 되는 치료 프로그램을 바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ADHD는 발달과정 중에 어려움이 생기는 상태이므로 보통은 어린 시절(유아기)부터 증상을 보입니다. 그러나 가장 많이 진단되는 나이는 만 7~10세 경이니 지금이 검사하기에 최적의 시기라고 생각됩니다.

    2021. 03. 30. 15:57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