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복용은 식후 30분이라는 말이 있는데. 지켜야 하는건가요?
어디에서가 들은 얘기인데 식후 30분후 약 복용은 우리나라에 있고 미국엔 그런것이 없다고 하는데 맞는말이지요?
약 복용후 식 후 30분에 복용해야 하는것인지 식전 또는 식후 1-2시간 이상..식후 약 복용 시간이 중요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권혁민 약사입니다.
의약품마다 복용법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식전 복용약의 약품의 흡수가 음식물에 방해받기때문이고
식후복용은 빈속에 복용시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기때문입니다.
다만 식후 30분의 복용을 하실때 계속 잊어버리신다면 식후 10분정도후에 드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식후 30분이라는 기준은 비교적 과거에 만들어진 용법입니다.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101
최근에는 기사의 내용과 같이
식후 30분에 먹는 의미가 없다. 오히려 시간을 지켜야하는 부담감때문에 약복용이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아
식사 직후를 일반적인 용법으로 선택한다고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용법에 따라 빠짐없이 드시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식후 30분에는 음식물이 소화관의 점막을 보호하기때문에 위점막에 대한 자극이 적고, 복용이행률이 가장 높은 시간이기때문에 대부분의 약을 식후 30분에 복용합니다. 만약 식사를 거른 경우라도 약물의 작용 유지를 위해 일정한 시간에 약을 복용해야 하므로 가벼운 음식물을 섭취한 후 약을 복용합니다. 그러나 당뇨약의 경우는 음식물의 섭취와 약물 복용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약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용법대로 복용해야 합니다. 또한 결핵약이나 제산제처럼 식전 1시간에 복용하는 약물도 있으므로 약봉투에 기입된 용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식후 30분을 굳이 지킬 필요는 없고
식사 직후에 복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위장장애와 흡수율 면에서 그렇게 복용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식후에 복용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한국인의 특성 상 위가 약하여 약물에 의한 위장장애가 나타나기 쉽습니다. 따라서 음식물과 큰 상호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약물이라면 위장장애 부작용을 피하기 위하여 식후30분이라고 말씀드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장장애가 심하신 경우 식후 즉시 드시라고 복약지도해드리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1 식사와 약 복용 시간은 약마다 달라요
식후 30분후 약 복용은 ; 복약순응도 증가와 위장장애 방지 목적입니다
식 30분에 복용 - 식후 복용으로 바뀌는 추세이긴 합니다
2. 그러나 특정한 약은
공복 즉 식전 또는 식후 1-2시간 이상..
식후즉시 복용
식사와 함께 등이 잇어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혜 약사입니다.
과거에는 약을 식후 30분 복용하라는 얘기가 많았습니다
저 어렸을 때도 그게 당연한 건 줄 알고
식사하고 30분 기다렸다가 정확히 먹고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는 음식이 30분 정도 있으면서 위를 보호한다고 믿었고
또한 30분이라는 시간을 주어주면서 일정하게 약을 복용하게끔
만들었다는 썰이 있습니다
요즘엔 식후 바로 드셔도 상관없으며, 식전에 복용해야 하거나
용법이 다른 건 약사님이 체크해주실 겁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옛날에는 식후 30분이 강조되긴 하였으나 요즘은 크게 관계없긴 합니다.
식후 30분이나 식후 바로드시는거나 크게 차이가 없고 오히려 식후 30분에 드시려고 하시다가 복약을 까먹을 수 있으니 바로 드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식사 후에 먹어야하는 약은 식사 직후 바로 먹으나 식후 30분에 먹으나 똑같습니다.
다만 일부 약은 공복에 먹으면 속이 아프기 때문에 식후 약은 식사 직후 드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상민 약사입니다.
약을 먹는 시간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식전에 먹는 경우에는 약을 빈속에 먹어야 약의 흡수가 좋은 경우이며, 식후에 먹는 겅우에는 약이 위에 자극적이거나 고지방 식이 시 흡수가 잘되기 때문에 위에 음식이 있을 때 먹으라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식후 30분이라고 말씀드리는 이유는 음식이 위에 있을 때 복용하라는 말과 같다고 보시면 되고, 30분은 복용 편의성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주수 약사입니다.
식후 30분이라고 하는 것은 사실 의학적인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며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반드시 공복 또는 식사 도중에 먹어야 하는 약이 아니라면, 식사 후에 드시는데 30분에 구애 받지 말고 식사 후 바로 드셔도 된다고 복약지도 해드립니다. 약은 규칙적으로 먹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식사 후 30분이라는 시간에 너무 신경 쓰시다가 약 복용을 놓치는 것보다 나으며, 특히 위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약들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식사 후 바로 드시는 것이 그러한 부작용을 줄여주는 데도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외국에서도 식후 30분이라는 규정은 없으며, 우리나라도 식후 30분->식사 직후 또는 식후 로만 처방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최다희 약사입니다.
식후 몇분 뒤에 약을 복용하는지가 특별히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식후에 복용하는 약의 경우 평소 속이 좋지 않은 편이라면 식후에 바로 복용하셔도 되고, 괜찮은 편이라면 1 시간 정도 지난 후에 복용하셔도 됩니다. 다만 식후 복용약은 식후에, 식전 복용 약은 식전에 복용하셔야 약의 효능에 영향이 없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공복에 복용시 위장장애가 발생하는 약물인 경우에는 식후 복용으로 안내드립니다. 식후 30분은 음식물과 같이 약이 섞일 경우 약효가 떨어질 수 있기에 음식물이 위에서 어느정도 내려간 후인 식후 30분이 복용법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음식물이 약효를 떨어뜨리는 것은 미미하고 식후 바로 복용하는 것이 복용을 잊지 않아 복약순응도가 높다고 판단되어 식후즉시 복용하시어도 무관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무나 박희재 약사입니다.
꼭 식후 30분에 약을 복용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위장장애 방지 목적으로는 식후 즉시 복용해도 되고 식후 1시간에 복용해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정 약사입니다.
식후30분이라는 말이 생겨난 이유는,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그렇습니다.
많은 약들이 식사와 상관 없이 드실 수 있는데, 그래도 식사 후 드시는 것이 좋긴 합니다. 왜냐하면 약중에는 위장장애를 유발하는 약이 생각보다 많기 때문입니다.
간혹 식전이나 공복상태에 드셔야 하는 약들이 있는데 이는 따로 복약안내사항으로 나올 것입니다.
식후 30분이라는 시간을 꼭 지키실 필요는 없으며, 식사 직후, 식사 1시간 뒤에 드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약 복용 후 30분 얘기는 옛날 말입니다
기억하기 좋으라는 썰도 있고 음식이 위장으로 갔을 때 완충하기 좋은 시간대가 30분이라는 얘기가 있는데 요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식후 즉시 드셔도 무방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식전, 식후 구분해야 할 약들은 있으므로 복약상담 받으실 때 약사님에게 꼭 물어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랄게요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미국에서도 약마다 먹는방법이 다를거에요.
식전, 식후 나눠서 먹을 수 있는 약들은 나눠먹어야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