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단아한비단벌레135
단아한비단벌레13523.10.18

명왕성이 왜 행성에서 왜행성으로 바뀐 거죠?

명왕성이 왜 행성에서 왜행성으로 바뀐 거죠? 크기나 질량이 작아서 퇴출된 건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건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Pluto)은 2006년까지 태양계의 아황성 행성으로 분류되어 있었지만, 이후에 행성이 아닌 왜소행성 또는 이원 행성으로 재분류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크기와 질량: 명왕성은 다른 8개의 행성(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네프튠)보다 현저히 작고 질량도 적습니다. 그 크기와 질량 면에서 명확한 행성과 비교했을 때, 명왕성은 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2. 지나치게 큰 궤도 경사: 명왕성의 궤도 경사(궤도의 기울기)가 지나치게 크다는 점이 행성 분류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명왕성의 궤도 경사는 다른 행성들의 궤도와 비교했을 때 크게 나타납니다.

    3. 주변 천체와 군집 특성: 명왕성의 주변에는 수많은 비슷한 천체가 존재합니다. 이로 인해 명왕성을 포함한 이러한 천체들을 일반적인 왜소 행성 또는 이원 행성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2006년에 국제천문연맹(IAU)에서 명왕성의 분류를 변경하였고, 명왕성은 왜소행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국제천문연맹(IAU)은 2006년 행성의 정의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발표했습니다. 이 기준에 따르면, 행성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자전으로 인해 구형을 이루고 있다.

    자전축이 거의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자신의 중력으로 주변의 물체를 잡아당길 수 있다.

    명왕성은 첫 번째 조건은 만족하지만, 두 번째와 세 번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IAU는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분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