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푸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배에

얼어 붙은 시체는 물속으로 가라 앉을 수 없다고 하던데..

얼어 있는 시체는 물속으로 가라 앉을 수 없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무엇때문에 얼어있는 시체는 물속으로 가라 앉지 않고 물위로 뜨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공정한백로247
      공정한백로247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부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에 뜨게 되는것입니다. 물은 기본적으로 부력이라는 힘을 가지고 있는데, 이 부력은 물체가 밀려내는 물의 양과 밀도에 의해서 결정됩니다ㅓ.^^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물에 뜨는 것과 같은 원리 입니다.

      사람도 수분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얼게 되면 얼음이 물에 뜨듯이 물에 뜨게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장기, 혈액, 뼈는 물보다 밀도가 높고 인체에서 유일하게 물보다 밀도가 낮은 게 지방입니다. 지방에 의해 몸이 물보다 밀도가 근소하게 낮게 유지되어 뜰 수 있는데, 몸에 힘을 주면 근육이 수축해 몸의 부피가 줄어들어 밀도가 높아져서 가라앉습니다

      시체의 경우 근육이 이완되어 몸의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밀도가 낮아져서 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어있는 시체가 물 위로 떠오르는 것은 얼음의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입니다. 즉, 물 위에 얼어붙은 시체는 얼음 조각과 같이 물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이 때, 물 위로 떠오르는 시체는 바람이나 해류 등에 영향을 받아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얼어있는 시체가 물 위로 떠오르는 것은 시체가 물 위에 떠 있는 동안 가해지는 외부 요인에 따라 상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나면 시체는 붕괴되어 물속으로 가라앉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신체는 최대 70%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물의 밀도는 크기 때문에 가라앉지만, 얼어붙은 시체의 경우, 신체의 70%의 함유된 물이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늘어납니다. 부력이 높아지면서 물에 뜨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