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그런대로여린파파야
그런대로여린파파야

이런 증상은 대체 무엇일까요..ㅠㅠ

성별
여성
나이대
26
복용중인 약
피임약

머리에 이상한 느낌이 납니다. 한 달 정도 된 거 같은데 도무지 이유를 모르겠고, 증상도 이상합니다. 작년 9월에도 이런 일이 있긴 했었는데 이번엔 더 심한 거 같습니다. 이 느낌의 시작은 잘 때 시작 됩니다. 자려고 눈을 감고 몽롱해지면 갑자기 상체 가운데? 명치 부분이라고 해야할까요.. 보통 롤러코스터 내리막길 내려가는 거 마냥 몸에 전율이 확 퍼지면서 쿵 내려앉는 느낌이 듭니다. 그러고 잠을 다시 청하려고 하면 갑자기 가슴이 답답해지면서 숨을 크게 몇 번 쉬어야 나아집니다. 그러고 잠에 들면 갑자기 머리 안이 피가 안 통하는 거 처럼 저리다고 해야할까요.. 그런 느낌이 들면서 머리가 쿵쿵 울리고 눈이 어지럽고 기립성 저혈압처럼 눈 앞이 지직거립니다. 마치 기립성 저혈압은 누워서 느끼고 있는 거 처럼요.. 그러고 한동안 잠을 못 자다가 어느 순간부터 기절한 거 처럼 자다 일어납니다. 작년 9월에는 그냥 머리가 울려서 신경외과에 가보니 편두통도 있고 머리에 피가 안 통해서 그런 거라고 하셔서 약 먹고 나아졌는데, 갑자기 증상이 심해졌습니다. 일상엔 두통이 없는데 꼭 잘 때만 이럽니다. 이런 것도 공황장애일수도 있나요..? 2월 정도에 공황장애 때문에 약을 먹었었는데 이거랑은 증상이 많이 달라서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몰라 공황장애 약을 먹고 자면 좀 나아지는 거 같기도 합니다 ㅠㅠ 대체 무슨 증상일까요.. 이제는 잘 때마다 이래서 또 공황이 올까 무섭습니다..

(최근에 피 검사 했을 땐 간 수치말고 빈혈, 갑상선 등 이상은 없다고 하셨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아마도 질문자분께서는 현재 잠자리에 드는 과정에서 매우 불편한 증상을 겪고 계신 것 같습니다. 주로 잠에 들기 시작할 때 상체 가운데가 쿵 내려앉는 느낌이나, 숨이 답답해지면서 머리가 저리거나 울리는 증상 때문에 걱정이 많으실 것 같아요.

    우선, 이런 증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나 불안감 때문에도 발생할 수 있고, 수면 무호흡증 같은 수면장애가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과거에 편두통 진단을 받으셨다고 하셨는데, 편두통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편두통은 종종 다양한 신경계 증상을 동반하기 때문이죠.

    공황장애의 경우, 당황스럽고 무서운 경험을 줄 수 있어, 수면 과정에서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증상이 공황장애와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는 조금 더 관찰이 필요합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증상이 수면과 관련된 것 같아 보여, 수면의 질이나 패턴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질문자분께서 이전에 공황장애 약을 드셨을 때 증상이 나아졌다고 하셨으니, 이는 어쩌면 불안감이 관련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합니다. 다만 이것이 공황장애 자체의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가장 기본적인 신체적 요인에 의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현재 상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진단을 통해 안심하고 치료 방향을 정하는 것입니다. 가까운 병원에서 수면 상태와 관련된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스트레스 관리나 긴장을 푸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말씀하신 증상들은 수면 중 나타나는 특이한 감각 이상과 신체 증상으로,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편두통이나 혈액순환 문제 외에도, 공황장애와 유사한 불안 증상, 수면 관련 문제, 또는 피임약 복용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과거 공황장애 병력이 있으셨고, 현재 불안감이 심해진 점을 고려하면 심리적인 요인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신경과, 또는 수면클리닉 방문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수면다원검사, 뇌파 검사 등을 통해 수면 상태를 정확히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심리 검사나 추가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다른 원인을 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복용 중인 피임약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산부인과 상담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전문가와 상의하여 불안 증상에 대한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