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생명화학 초보 너구리
생명화학 초보 너구리

일반화학 볼타전지 금속의 반응성 질문

볼타전지에서 Zn금속과 용액속의 H+중 Zn의 이온화 경향이 더 커서 Zn이 Zn(2+)가 되면서 2e-를 내놓아 이 전자는 도선을 타고 이동한다고 배웠는데요.

여기서 Zn(s)가 H+와 직접 만나 화학결합을 하는게 아니잖아요. 그럼에도 Zn이 H보다 이온화 경향이 커 Zn(2+)가 되는 이유는 Zn과 H+가 혼합되어서 그런건가요?

즉 금속의 이온 경향이 다른 2개가 있을 때, 이온 경향이 큰게 전자를 잃는 경우는 금속의 이온경향이 다른 2개가 만나 둘이 화학반응을 할 때만 일어나는게 아니라, 2개가 만나 화학반응을 하지 않더라도 한 공간에 있을때(혼합) 도 일어나는 건가요?

볼타 전지 같은 경우에(Cu금속과 도선 연결되어있음) Zn금속이 용액속 H+에게 전자를 주는 게 아닌데 금속의 이온경향 때문에 Zn(2+)가 된다는게 이해가 안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42

    아연(Zn)과 수소 이온(H⁺)의 상호 작용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금속의 이온화 경향이 다른 두 원소가 직접 화학적 결합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이온화 경향이 더 큰 금속이 전자를 잃을 수 있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볼타전지에서의 화학 반응은 일련의 전기화학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금속의 이온화 경향성이란 금속이 전자를 잃고 양이온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말하며, 이는 화학적 반응성의 척도로 사용됩니다. 아연(Zn)은 수소(H)보다 이온화 경향성이 높습니다. 이는 아연이 수소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전자를 잃고 Zn²⁺ 이온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볼타전지 내에서 아연은 전극에서 전자를 잃고 Zn²⁺로 산화됩니다. 이 때 방출된 전자들은 외부 회로를 통해 이동하여 다른 전극에서 환원 반응에 관여합니다. Zn과 H⁺이 직접 만나 반응하지 않더라도, 아연의 전자는 회로를 통해 전달되며, 이 전자들은 종종 다른 전극에서 H⁺ 이온을 환원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H⁺ 이온은 H₂ 가스로 환원될 수 있으며, 이는 전극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결국, 금속의 이온화 경향성이 다르면 그 영향은 전자의 흐름과 관련된 전기화학적 특성에 나타납니다. 이온화 경향성이 높은 금속은 전자를 쉽게 잃어 다른 화학 종과 반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복잡한 전기화학 반응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금속의 이온화 경향성이 높다는 것은 화학적으로 더 활동적임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이해를 더 돕기 위해서는 "Electrochemistry" (Carl H. Hamann) 같은 전문적인 학술 자료를 살펴보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