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쿠치병 임파선염 질문 드려요 선생님 !!
제가 3월에 오른쪽 목과 쇄골에 임파선염이 생겨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어 조직검사한 결과 기쿠치병이라고 4월에 진단을 받았어요. 거이 나아가는 과정에서 5월 초에 반대쪽 겨드랑이에서 멍든 느낌이 들고 멍울은 느껴지지 않았는데 일주일 지나서 멍울이 잡히기 시작했어요. 항생제는 일주일만 먹고 먹지 않았어요. 속이 별로 여서요. 한달째 멍울이 계속 있는데 혹시 이것도 기쿠치병 인가요? 유방검사 했는데 괜찮았 습니다. 조직검사를 해봐야 알까요?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기쿠치병은 주로 목 부위 림프절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지만, 겨드랑이 림프절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멍든 느낌과 멍울이 만져지는 증상은 기쿠치병의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다른 감염이나 염증성 질환도 고려해야 하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조직검사를 포함한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 복용 후 속이 불편하셨던 점은 안타깝지만, 현재 멍울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담 후 적절한 검사와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편안한 마음으로 진료받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기쿠치병은 주로 젊은 여성에게서 발생하는 드문 림프절염으로,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감염 후에 나타나며, 자연스럽게 회복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질문자분의 경우 3월에 오른쪽 목과 쇄골 부위에 임파선염이 발생했고, 기쿠치병으로 진단받으셨군요. 이후 5월 초에 반대쪽 겨드랑이에서 새로운 멍울이 생겼다고 하셨는데요. 이런 경우 처음 발생했던 기쿠치병의 영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쿠치병은 흔히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간혹 다른 림프절에서 새로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께서 제기하신 것처럼 혹시 모를 다른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직검사를 통해 추가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기쿠치병 외에도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전의 검사 결과와 현재의 증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속이 불편하여 항생제를 중단하셨다고 했는데, 기쿠치병은 바이러스와 관련된 경우가 많아 항생제가 필수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새로운 증상이 나타난 점을 고려했을 때, 문의를 통해 더욱 확실한 진단을 받으실 수 있길 권장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